김성훈 교수, 기존 장치의 한계 극복한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 특허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ral treeper, Oral Treatment Keeper, 이하 OTP)는 중등도의 교정치료 외에도 교정치료 후 유지 장치와 이갈이 마우스피스, 코골이 방지장치, 스플린트, 그리고 스포츠 마우스가드 등의 보호장치로 사용된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 김성훈 교수팀(안효원 교수, 김경아 교수, 중앙기공실 김혜웅 팀장)이 7년간 공동 개발한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가 미국특허까지 포함 16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기존의 투명교정장치는 단일층(단일 시트)의 구조적 측면 등으로 효과성, 내성, 유지관리 및 탈부착 시 불편했다.
또한 치료의 효과성과 취약한 파절 강도와 변형으로도 불편했다.
하지만 이번에 특허받은 김성훈 교수팀의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는 삼층, 사층의 다중층으로 외부 및 내부 베이스층, 완충층(단일 혹은 이중)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치아의 구성이나 건강상태에 따라 삼층 혹은 사층 투명교정장치를 적용한다.

사층 투명교정장치는 스포츠 마우스가드로도 활용도가 높다.
다중층의 주요 특징은 장치 탈착 시 치아에 충격이 적어 안전하고 쉽게 사용 가능하며 이 악물기나 이갈이 상황에서 치아에 가해지는 충격을 다중층으로 흡수해 치아와 치주조직 및 치조골 부위에 스트레스를 거의 주지 않는다.
또한 다중층 중 내부 베이스층으로 인해 투명장치를 착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치열궁의 변형 현상과 장치의 뒤틀림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장치가 바로 OTP 장치다.

김성훈 교수는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가 기존 장치의 한계와 단점을 극복한 대안이며 기술력과 임상시험결과를 충분히 인정받아 국내 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의 국제특허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교수팀은 이번 다중층 투명교정 장치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만 5년 이상이 걸렸으며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삼층, 사층의 다중층 투명교정장치(OTP)를 총 500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는 2015년, 2017년에 SCI급 저널인 KJO(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에 이미 게재됐다.
미국과 중국 등 국제특허 획득은 다중층 투명교정장치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