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부터 치과 임플란트 건강보험의 적용 대상이 만 65세 이상으로 확대됐고 틀니와 임플란트에 대한 본인부담률을 30%로 낮췄다.
임플란트는 저작운동뿐만 아니라, 뇌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켜 뇌기능 향상을 통해 집중력과 기억력을 높이고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더욱이 타액(침)과 함께 잘 섞이도록 함으로서 소화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김성균(서울대 치과병원) 교수는 임플란트를 하고도 관리를 잘못하면 구강질환을 얻게 된다고 지적했다. 임플란트 치아를 오래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무엇보다도 적극적인 관리와 노력이 필요함을 환자들에게 주지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임플란트시술뒤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시술 부위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잇몸 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김 교수는 조언했다.
임플란트 자체는 인공치아이므로 치아우식증(충치)이 생길 염려는 없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힘이나 잇몸 염증에는 취약하다. 자연치아와 달리 치근막이나 치주인대 등 외부 충격을 완충하거나 항염증작용을 하는 조직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임플란트 인공 치아가 조금이라도 흔들리거나 움직이면 치과로 방문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아주 작은 나사로 입안에 고정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 이 나사가 풀리기도 한다. 이때 바로 치과에서 조치를 취하면 별다른 문제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나사가 풀린 상태로 사용하다가 휘거나 부러질 수도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치아주변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에 세균이 번식하면서 염증이 발생하고 결국 임플란트를 잡고 있는 뼈가 파괴되거나 흡수된다. 때문에 주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잘 제거하고 치석이 생기지 않도록 양치질을 꼼꼼히 해야 한다.
시술 후에는 4~6개월마다 치과를 방문해 정기검진을 통해 뼈의 상태를 확인하고 잇몸 주변 염증과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는지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