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과목의 외국 유명의사 초빙... 25세~54세 인구 약 6억 6,236만명

중국의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이며 육지 국경선의 총 길이는 약 2만 280km에 달하며 해안선 총 길이는 약 1 만 800km이다. 중국해역에는 약 7,600개 의 섬이 있으며 섬들의 총면적은 약 7만 2,800km이다.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나라는 총 14개국 국가로 동쪽부터 시 계반대방향으로 북한, 러시아, 몽골, 카자 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 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이 있다.

중국의 인구는 2018년 현재 25~54세 인구가 약 6억 6,236만명으로 전체인구 의 47.84%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11.27%를 차지한다. 중국의 의료시스템체계는 공공과 민간으로 구분되며 공공부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국인 의사현황

현재 중국 전역에 약 200여개의 외자계 의료기관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대부분 외국인 의사를 고용한다. 정식 비준을 받은 의료기관은 2011년기준 79개에서 2014년 92개로 증가했다.

타이완계, 홍콩계와 싱가포르계 등 중화 권이 대부분이며 그 외 미국계, 독일,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의료기관이 진출했다. 외국인 대상 하이엔드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민영병원의 국제부를 외자계 의료기관에 위탁하거나 합작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 자체적으로 다수의 외국인 의사를 고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주요 채용목적은 신기술도입과 마케팅효과, 대상 환자(외국인, 고소득층 중국인)의 수요확보를 위해서다. 다수의 병원이 의사이외에 시장개발, 고객관리 직종의 외국인 채용 수요도 늘고 있다.

#외국인 의사 채용 추세
과거에는 외자병원 에서는 외국인 대상의 Familly Care 과목과 중국거주 외국에게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를 채용했었다.

또한 대형병원의 경영과 의료퀄리티를 관리하는 의사를 채용하고 샤먼 창껑병원이나 난징밍즈 병원에서 외국인 의사를 채용했었다.

로컬병원의 경우 특수과목의 외국유명의사를 초빙하거나 한국, 타이완, 홍콩 등지의 성영 피부과 치과의사를 채용했다. 현재는 전문병원클리닉의 외국선진의료 서비스시스템을 도입했다. 상하이 도쿠신카이치과는 일본인 의사를 채용했고 선전마린챠오 안과는 홍콩의사를 채용했다.

그 외에 중국내 고소득층 대상 하이엔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로컬병원인 베이징 밍더병원에서도 외국인의사를 채용하고 있다.

#베이징 외국인 의사현황
베이징은 전국으로 유일하게 외국인의사 자격시험을 보며 매년 약 100명 정도의 외국인의사가 응시했고 2015년까지 누계 시험응시자는 약 1천명에 달한다. 치과의사 시험응시자는 일본, 미국, 한국, 홍콩, 타이완이 전체의 78.2%를 차지한다.

매년 약 10명 정도의 치과의사가 시험을 응시하는 데 그 중 일본인이 제일 많으며 한국은 16.2%에 불과하다. 언어권별 합격자는 영어권 응시자의 합격 률이 65.9%, 비영어권의 합격률은 32.1%이다. 과목별로는 일반치과 전공이 가장 많고 치주, 교정, 임플란트순이다.

#중국내 외국치과의사 면허 인정절차

중국에서는 외국인 의사는 관련 규정에 따라 소정의 절차를 거쳐 자격증인 행위면 허를 취득해서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다. 장기적인 의료행위는 의료기관과 노동계약을 체 결하는 경우 이외에 단기적인 출장 진료에도 자격증이 필요하다.
자격증은 크게 단기면허와 임시면허로 나뉘며 지역에 따라 준비서류및 등록난이도가 다르다.

베이징의 단기면허는 시험을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베이징이외 지역은 시험없이 신청으로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최근 위계위는 외국 의 료단체 관련조항을 개정전 성급에서 시급으로 심사단위를 조정하는 등 관련 법규를 현실에 맞게 개정 보완을 하고 있는 추세다.

#면허의 종류 및 절차
의사자격증을 취득한 의사는 해당 위생행 정부서에 등록후 의사 집업(개원허가증)를 취득해야 한다. 증서 상의 집업지점, 유형, 범위에서만 의료예방보건행위가 가능하다.

중국내 의료기관에서 적법하게 근무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류는 의사자격증과 의사직 업증서, 외국인 취업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취업한 회사에서 수속을 대신해 준다. 그 외에 취업비자와 임시 거주증이 필요하다.

#중국 노무환경
근무시간은 규정시간인 8시간 이하로 근 무하는 인력은 전체의 26.7%이며 나머지는 9시간 이상 근무한다. 의사의 평균 근로시간이 10.2시간으로 가장 많고 간호사는 8.8 시간, 의료기사는 7시간이다.

조사결과 79%가 스트레스가 크다고 하며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은 업무강도가 55.7%로 높았다. 중국의 급여수준은 기본급 이외에 사내복리와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중국의사 급여 구성비

일부 대형공립병원의 경우 제도적 문제로 인해 기본급의 구성비가 20%이하인 곳도 적 지 않다. 위계위가 관리하는 44개 병원의 2013년 기 본급과 인센티브 비율이 1:6.8 이었다. 인센티브는 보너스 성격이 강하고 성과에 따라 차등으로 분배되는 비율은 높지 않은데 이는 기본급 책정기준이 10여년전 기준이며 전체 임금 규모를 정부에서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민영병원이 공립병원보다 실적에 의해 차등분배되는 성과형인센티브 비율이 높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