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임플란트는 모두 수입...임플란트 수입금액 총 713만 달러

<biz특집 그리스 임플란트 시장>

그리스 임플란트 시장은 이미 주요 치과관련 제품을 취급하는 유통사들이 주요 유럽과 미국 임플란트 제조 회사와 독점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해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 시장은 탄탄한 판매망을 구축한 성숙시장이라 할 수 있다.

#임플란트 1개당 수술비용 1,200~1,500 유로
KOTRA 그리스 아테네 무역관에서 인터뷰한 그리스 치과용 임플란트 및 소모품 유통사인 Vector MedDr. Sanidas 대표의 의견에 따르면 그리스 소비자들은 치료 비용 부담이 큰 임플란트보다는 틀니나 브릿지를 이용한 치료를 선호하는 편이다.

기존 임플란트 1개당 수술비용은 약 1,200~1,500유로였으나 지난 10년간 겪은 재정위기로 인한 소득 감소에 따른 소비시장 위축, 임플란트 수입처 다양화 등에 따른 물량확보 등의 이유로 시술 비용은 현재 25%~35% 감소했다.

주변에 임플란트 시술을 한 사례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그리스 소비자들의 임플란트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다.

#그리스 임플란트 시장 연 평균 2.0~3.0% 성장
임플란트 및 관련 부품을 수입하는 그리스 MV Dental사의 Dr. Kaliakmanis 대표의 의견에 따르면 그리스 임플란트 시장은 연 평균 2.0~3.0%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휴업령, 외출자제령, 소득 감소 등의 사유로 그리스의 2020년 임플란트 시장은 전년 대비 약 20.0~25.0% 감소한 것으로 추측했다.

임플란트 주요 구매자는 치과용 소모품과 관련 장비를 수입·유통하는 기업들이다.
임플란트와 같이 치과용소모품의 경우 제품당 규격 또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기 때문에 유통사들은 치과 의사로부터 주문을 받는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스톡 창고를 같이 운영하는 편이다.

간혹, 치과 의사가 직접 Alibaba, E-bay 등 온라인 마켓 플랫폼을 통해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비용은 저렴한 반면 A/S 지원 및 품질 보장이 안되기 때문에 일반적이지는 않다.

또한, 치과 의사가 임플란트 및 관련 부속품을 제조하는 회사에 직접 연락해 최소 주문수량을 확인 후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다.

#임플란트 수술키트 무상제공조건으로 임플란트 등 계약
그리스 유통상들은 의사들에게 임플란트 수술 키트를 무상 제공하는 조건으로 임플란트 및 관련 부속품을 특정 제품으로 구매하는 계약을 추진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런 경우에는 의사는 해당 유통상으로부터 필요한 임플란트와 장비 그리고 기타 소모품을 한꺼번에 구매하는 유통구조를 띄고 있다.

# 임플란트 판매 가격은 70~100유로...스트라우만은 200유로 안팎
그리스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임플란트 판매 가격은 70~100유로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유럽산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인 Straumann사의 임플란트의 경우 치과의사의 연 구매량에 따라 200유로 안팎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리스에서 임플란트 시술 비용은 임플란트 브랜드에 따라 대략 800~1,000유로 안팎이다.

그리스에서 유통되는 주요임플란트 브랜드
그리스에서 유통되는 주요임플란트 브랜드

그리스산 임플란트는 없기 때문에 모든 수요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스를 포함한 유럽연합 시장에서 유통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에 대한 CE 인증은 꼭 필요하다. -EU FTA 협약 적용시 관세는 0%이지만 수입자는 13% 부가세를 부담해야 한다.

그리스의 2019년 임플란트 수입국 1위는 미국이며 총 276만 달러로 전체 임플란트 수입 시장의 25.0%를 차지했다. 그 뒤로는 유럽국가들인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가 포함돼 있고 비유럽연합국으로는 이스라엘, 한국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이 10위권에 포함돼 있다.

#임플란트 수입금액 총 713만 달러
특히, 수입국 1~4위국인 미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이스라엘로부터 수입하는 금액은 총 713만 달러로 전체 임플란트 수입 시장의 64.7%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경쟁이 심한 편이다. 한국은 그리스의 임플란트 수입국 9위로 약 42만 달러로 그리스 임플란트 전체 수입 시장의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57.3% 증가를 보였다.

그리스 시장에서 한국산 임플란트 인지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그리스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의료계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현지 에이전트와 같이 직접 홍보가 필요하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다양한 의료 세미나, 전시회 등이 취소됐으나 그리스 치과 업계 분야 종사자들이 꼭 방문하는 2021년 독일 쾰른 국제 치과기자재 전시회 또는 20215월에 개최 예정인 그리스 테살로니키 덴탈 엑스포(www.expodent.gr) 참여를 통해 홍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그리스는 OEM 주문 제작 선호
이미 성숙한 시장이라 경쟁이 높은 편이긴 하나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시장도 따라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늘어나는 수요 선점 기회를 공략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그리스 유통사들의 경우 자사브랜드로 OEM 주문 제작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리스 시장에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기업들의 경우 OEM 제작을 통해 그리스 자사브랜드로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와 한국 브랜드로 진출해 그리스 및 유럽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좋은 방법인지 등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그리스 치과용 임플란트 및 소모품 수입상 MV Dental 그리고 Vector Med 담당자 인터뷰, Global Trade Atlas 수입 통계 및 아테네 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