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르코니아의 가능성 추구

Kani Akito 著 | 임영빈  譯  2022년 7월 5일 | 대한나래출판사
Kani Akito 著 | 임영빈 譯 2022년 7월 5일 | 대한나래출판사

치과용 CAD/CAM과 지르코니아는 치과분야에 있어 진화의 선물과 같다. 하지만 동시에 현재 치과기공물의 한계라는 오해와 선입견을 갖게 한다.  

최근 제작되는 치과보철물 종류 중 덴처를 제외한 보철물의 비율만 따진다면, 단연 지르코니아 보철물이 90% 이상 차지할 만큼 압도적이다. 

신간 『지르코니아 보철의 컬러링 테크닉』 은 덴틴과 에나멜의 이중 구조에 의한 자연치의 특징을 심도있게 분석·서술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지르코니아 보철물에 활용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Chapter 1에서는 지르코니아와 심미보철 제작 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담고 있다. Chapter 2는 지르코니아와 coloring liquid 의 재료학적 특성에 관해 서술했다. 지르코니아를 이트리아 함유량과 결정 구조를 기준으로 제1~4세대로 분류해 각 세대별 특징을 설명했다. 
특히 각 세대별로 다른 투명도와 강도를 갖게 되는 원인을 결정 구조의 변화와 이트 리아의 함유에 의해 설명하고 있으며 임상에서 지르코니아 블록선택 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Chapter 3은 pre-sinter coloring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전치부, 구치부의 컬러링 방법 등이 그림을 통해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되어있다. 

Chapter 4는 싱글 크라운부터 지대치 삭제량이 많은 전치의 명도컨트롤, 브릿지, 서 로 다른 종류의 지르코니아 블록을 함께 사용한 전악보철증례 등 저자가 임상에서 겪은 경험담을 상세히 담았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