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조정훈 원장 ] 어니타 루시아 로딕(Dame Anita Lucia Roddick)은 더바디샵의 창립자다. 더바디샵의 창업 이념은 “우리의 비즈니스는 사회적 환경적으로 공헌한다”이다. 매우 독특하다.
달라이라마와 양심수 석방과 향유고래 포획 반대 캠페인을 진행하며 더바디샵 인권상을 만드는 등 국제기구나 인권단체가 했을 것같은 일들도 했다. 물론 사업적으로도 성공해 현재 전 세계65개국 3,000여 개 매장이 운영 중이다.
그녀의 책 Business as Unusua/에 따르면 기업은 이윤추구와 함께 삶의 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표를 제시한다. 그녀는 1976년 영국 브라이튼 지방의 장례식장 옆에 더바디샵이라는 화장품 가게를 오픈했다. 하지만 엄숙한 장례식장 옆에 더바디샵이라는 이름은 장례식장 측의 강한 항의을 받아 난관에 직면하고 말았다. 하지만 그녀는 이를 사업의 기회로 삼았다.
초창기 더바디샵은 천연 원료를 사용한 스킨, 보디, 헤어 케어제품과 메이크업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고 원주민과의 공정무역을 통한 티트리 라인과 동물실험 반대 이념으로 만든 화이트 머스크 라인 등이 성공을 거뒀다. 이처럼 더바디샵은 화장품 업계 최초로 동물실험을 반대했다. 그리고 루비 캠페인을 통해 여성들의 자아 존중을 강조했다.
또 “전 세계에는 슈퍼모델 같은 외모의 8명의 여자와 그렇지 않은 30억 명의 여자가 있다”며 기존 화장품 업계의 광고 정책에도 비판을 가했다. 즉 사람들이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도록 격려한 것이다.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 용기사용 및 리필 제품 판매를 진행하는 한편 과도한 제품 광고들을 금지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기업의 평판이 좋아진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1) 고객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고객의 만족도와 가격 프리미엄을 가능하게 한다.
2) 직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이는 직원들의 회사 만족도를 높여 생산성 증가와 이직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3) 투자자에게 믿음을 즙 수 있다. 이는 주가 상승과 좋은 거래처 유치에 도움이 된다
4) 지역사회를 향한 필요성을 높여 제도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좋은 평판을 위해서는 진실성과 윤리성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에 관한 안전성과 고객을 위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기업에 왜 이렇게 많은 기대를 하는가? 부족한 생각이지만 여기에는 역사적 배경이 있다고 본다.
종교가 삶을 지배하던 중세시대에는 교황과 성직자에게 많은 기대를 나타냈을 것이다. 그래서 십자군은 신을 위해 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대립하는 현대 이데올로기 시대에서는 국가에 많은 기대와 희망을 걸었기에 국가를 위해 희생을 다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기업의 크기와 영향력은 국가보다 거대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그토록 기업에 기대하는 바에서 만족을 느끼지 못했을 때 드러나는 과도한 분노를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기업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 것이다.
"누울 자리 봐 가며 발을 뻗어라."라는 속담이 괜스레 떠오른다.
출처: 조정훈 원장의 『Dr MBA의 원장실 경영학』 (2024)
조정훈 원장
·이젤치과 대표원장
·주) DF 덴탈프렌즈 대표이사
· 대한치과의사협회 기획이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DDS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사 졸업 MBA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치과학교실 석사.박사 졸업 MSD. Ph.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