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익제 원장의 다시 쓰는 개원일지
인테리어는 업체에 따라, 원하는 수준에 따라 평당 비용이 다양합니다. 많은 업체들을 만나 결정하며 업체의 신뢰도가 결정의 우선순위를 좌우하게 됩니다. 인테리어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먼저 계획합니다.
집에 있는 시간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진료 공간이므로 싫증이 나지 않도록 신중하게 시공하여야 합니다.
1. 적어도 3군데 이상의 업자와 1차 접촉을 해라.
2. 도면을 볼 줄 알아야한다.
3. 대충의 도면을 그려라.
1) 동선을 파악하라. (이때 주변 사람과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2) 규모를 생각하라.
3) 아이디어 제품을 이용하라.
4. 한 가지 도면을 발송해라.
5. 업체의 태도를 본다.
6. 모든 업체에게 견적서를 받는다.
7. 포트폴리오를 받아본다.
8. 업체의 선정
1) 대충 어떤 업자를 선정할지 감이 온다.
2) 싼 데는 다 이유가 있다.
3) 적정수준을 고수하는 업체를 선정해서 깎아라.
4) 주변 평을 반드시 들어라.
5) 실적비교
6) 직접 확인
9. 계약 시 조건
10.공사의 시작
인테리어 시 주의사항
1. 내부설계가 가장 중요한데 도면과 같이 시공되는지 혹시 변경할 사항이 없는지 충분히 검토하여야 합니다.
2. 화장실 공사나 입구공사 유무에 따라 전체 공사비의 증감이 있습니다.
3. 견적 시 평당 가격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똑같은 조건으로 여러 업체에게 견적을 요구합니다.
4. 원장실 책상, 의자, 책꽂이, 잡지꽂이, 대기실 의자, 상담실 의자, 이동식 서랍장, 스탭실 라커 등 가구 비용 등에 관해서도 명확한 제시가 있어야 합니다.
5. 인테리어 공사 중 가끔 변경을 하게 되는데 공사가 끝날 때쯤이면 공사비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계약 시 여러 가지 사항을 특약사항으로 규정하고 진행시 꼼꼼히 확인합니다.
6. 저렴한 가격으로 적정한 인테리어를 한다면 초기 자금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7. 견적 뽑고 계약들어가기 전까지는 간이라도 빼 줄듯이 굽신굽신하고 친절한 업자들이 일단 공사 들어가면 불성실하고 어떻게 하면 많은 이익을 가져갈까 하는 태도로 나오는 경우도 많으니 그만큼 업자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8. 소개로 했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믿고 맡기지만 마시고 원칙대로 명확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