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향(산미나리, 영문명; Fennel)

회향(학명; Foeniculi Fructus)
회향(학명; Foeniculi Fructus)

회향(茴香, 펜넬; Fennel)이란 미나리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써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산형화목(繖形花目; Umbelliferae)의 여러해살이 풀인 회향(Foeniculum vulgare Mill)의 씨앗으로 보통 9~10월에 채취해 사용한다. 회향은 높이 2m 내외로 곧게 자라며 줄기는 털이 없고 속이 비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많은 가지로 갈라진다. 

잎은 가늘고 섬세해 마치 새의 깃털과 같은 모양으로 긴 잎자루가 있고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회향의 잎은 긴 잎자루 밑쪽이 줄기를 안듯이 둘러싸고 있으며 3~4회 우상으로 각 갈래조각은 긴 칼집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7~8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형화로 흰색이나 연노랑색의 꽃이 핀다. 꽃차례는 잎과 마주나며 5∼15개의 작은 꽃자루로 갈라지고 각각 10∼25개의 꽃이 달리는데 꽃잎과 수술이 각각 5개씩이며 꽃자루의 길이는 대략 2mm 내외다. 꽃잎은 5개이며 안으로 구부러지고 씨방은 꽃의 하부에 있다. 씨앗은 따로따로 갈라지는 길이 2.5mm 타원 모양의 분과(分果)이며 가장자리는 모가 나 있다. 이 씨앗을 회향(茴香) 또는 회향자(茴香子)라고 부르며 ‘아니스(팔각; 八角)’와 비슷한 특유의 향기와 함께 달콤하고 상큼한 맛이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회향에 관한 전설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프로메테우스’가 사람들을 위해 신으로부터 불을 훔친 다음 대나무처럼 속이 빈 회향줄기에 숨겨서 인간에게 갖다 줬다는 내용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건강과 장수를 누리려고 회향을 복용했음은 물론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회향을 끓인 물로 갓난아이의 눈을 씻어 주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는 일평생동안 시력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요즘에도 많은 나라에서 시력이 약해지거나 눈에 염증이 생길 때 펜넬 끓인 물을 세안 액으로 사용한다. 또 영국에서는 펜넬 꽃다발을 문 앞에 걸어두면 나쁜 귀신이 집 안에 침범하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회향은 향료나 약용으로 쓰는 씨앗뿐만 아니라 줄기나 구근까지도 스파이스, 향신료 또는 채소로 소비된다. 밑이 넓적하고 도톰한 잎이 서로 포개져 있는 청경채 잎자루 모양의 펜넬 구근은 생야채로 먹거나 생선의 비린내, 육류의 느끼함과 누린내를 없애기 위한 요리재료로 활용된다. 또한 잎을 잘게 다져 신선한 생선요리에 넣으면 약간 자극적이면서도 상쾌한 맛을 낸다.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으면 사람 키만큼 자라면서 섬세한 청록색 잎이 싱그럽게 피어난다. 

약재로써의 회향은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아기 젖이 부족할 때 엄마가 복용하면 모유량을 늘리는 최유제 역할을 하고 이뇨효과에 의한 해독 작용과 함께 체중도 감량시킨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요로결석 증상이 있을 때나 부종완화, 그리고 비만방지를 위해 회향을 복용한다. 

이와 같은 약용목적 외에도 화장품의 향기를 발산하는 부향제로 사용된다. 하지만 회향은 에스트로겐 효과로 인해 약간의 자궁자극작용이 있는 식물이다. 그리고 과량섭취에 의한 부작용으로 알러지 반응이나 환각, 발작, 특정항생제 흡수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한꺼번에 너무 과용하거나 임산부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약용으로써 회향의 유효성분은 주로 씨앗에서 추출하는 정유(총 중량의 약3~8%)에 포함돼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아네톨(Anethole)로서 전체의 약 50∼60%를 차지한다. 아네톨 중합체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작용하며 암 발생을 예방하는 가장 강력한 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아네톨이 보유하는 약리학적 메커니즘은 암 유발 유전자의 변형, 염증유발 인자 중의 하나인 NF-kappaB의 활성을 차단하는 기능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아네톨 외에 에스트라골(Estragol)이 나머지 정유 중 약 3%를 차지하고 기타 Anisaldehyde, Fenchone, Pinene, Limone‘ 8-methoxypsoralen, Sabinene, Bergapten 등을 함유한다. 이러한 성분들에 의해 위산분비 조절, 간장보호, 심혈관 보호, 진경작용을 비롯한 다양한 약리적 효과를 나타낸다. 

회향의 잎에는 판토텐산, 피리독신(비타민 B6), 나이아신, 리보플라빈, 티아민과 같은 중요한 비타민 B군이 많이 포함돼 있다. 또한 씨앗과 잎, 그리고 구근에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및 캠페롤(kaempferol) 등이 함유돼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항산화제로써 감염, 노화, 및 퇴행성 신경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향이 보유하는 다양한 약리활성을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1) 간장보호 작용; 회향에서 추출된 70% 에탄올 추출물의 CCl4및 GalN 간독성 실험에서 간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냈다. 즉 회향의 8종 활성성분 중 (+)-fenchone, (+)-α-pinene, 8-methoxypsoralen 및 sabinene이 GalN 간독성 실험에서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인 것이다.

(2) 심혈관 질환이나 심근경색 개선효과; 회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동맥내피세포에서 TNF-a에 의한 ICAM-1, VCAM-1발현을 억제해 심혈관 질환 개선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는데 이는 Ethylacetate 및 Hexane 계열의 성분이 Hexane분획 중 Myrcene의 강력한 adehision molecules 억제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이다. 

(3) 동맥경화 예방효과; 회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collagen에 의한 혈소판 응집을 50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억제했고 회향 단일화합물 12종은 collagen으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회향 70% 에탄올 추출물은 100mg/ml 이상의 농도에서 출혈시간을 연장했는데 IC50 value기준에서 보면 Bergapten의 효과가 제일 좋았다. 

(4) 위산에 대한 제산작용 및 위장관 보호효과; H2O및 70 % EtOH 추출물에서 회향의 제산 능력은 각각 19.1, 20.4 %, 비교생약인 사라자의 제산 능력은 각각 23.3, 23.0% 임이 확인됐다. 또한 각각의 추출물 300mg/kg에서 회향은 각각 62.4, 27.9%로, 시라자(비교생약)는 44.2, 30.3%로, 팔각회향(비교생약)은 30.3, 45.8%로 gastric lesion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위산과다를 비롯한 위장질환 치유능력은 회향이 가장 탁월함이 밝혀졌다.

(5) 항염증 효과; 회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50, 100, 200μg/mL에서 농도의존적인 NF-kappaB-SEAP 발현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항 골다공증 효과; 회향에서 분리된 성분 중 p-anisaldehyde와 p-anisylacetone에서 약하게 골질을 약화시키는 파골세포(Osteoclast)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관찰됐다.

(7) 관절염 억제 및 관절활성 촉진효과; in vitro 관절 활막세포(HIG-82 synoviocytes)에서 회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PBE2 억제, COX-2 억제 및 DPPH 라디칼 소거 등의 염증물질분비 억제효과가 관찰됐다. 이는 관절염이나 관절의 퇴행성 질환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반증한다.

(8) 빈혈개선 효과; 회향이 함유한 풍부한 철분과 히스티딘 성분에 의한 빈혈개선 효과가 보고 됐다. 철분은 헤모글로빈의 주요 성분이며 히스티딘은 헤모글로빈의 생성을 도와 빈혈을 예방하거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일찍이 12세기의 의학자 ‘힐데가르트 폰 빙겐’이 저술한 『자연학』에 의하면 ‘회향을 매일 섭취하면 입안의 가래와 부패물질이 줄어들고 입 냄새가 사라진다’고 했으며 중국의서 『증류본초』에서도 ‘회향을 씹거나 새싹 또는 줄기로 국을 끓여 먹어도 입 냄새가 없어지고 입안이 깨끗해진다’ 라고 기술돼 있다. 이처럼 회향은 구강위생을 개선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치약이나 함치제 또는 가글액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넬슨 ‘내츄럴 펜넬’ 치약(Nelson Fennel- Fluoride Free)
넬슨 ‘내츄럴 펜넬’ 치약(Nelson Fennel- Fluoride Free)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