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식 교수초청강연회 4월 17일 오스템 마곡사옥 대강당과 덴올 실시간 스트리밍

황현식 교수
황현식 교수

성인을 위해 개발된 미니튜브 교정장치가 소아에서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학계의 화제이다. 최근 교정계의 새로운 트렌드인 ”약력교정“이 소아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성인치과교정연구회 (회장 박영철)는 이 분야의 권위자인 황현식 교수를 초청하여 오는 4월17일(일) 오스템 마곡사옥 대강당에서 오후 2시부터 오프라인과  온라인 덴올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동시진행으로  소아약력교정 특별강연회를 개최한다. 

황현식(SF 치과) 교수는 “지금 소아환자들은  “골드키즈”라 할 수 있다.  소아에게는 조그맣고 예쁜 장치를 이용한 “약한 힘” 교정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소아와의 즐거운 진료, 명랑진료를 위해서는 미니튜브 교정장치를 이용한 '약력교정의 개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반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약력교정을 할 수도 있지만 장치사이즈가 작고 예쁜 미니튜브 장치를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하며, 약력 교정이 가능한 미니튜브 교정치료야 말로 명실상부한 '소아친화적 교정'이다.
황현식 교수는 이번 특별강연회에서 미니튜브 장치를 이용한 소아약력교정의 장점을 6가지로 요약하여 강조하면서 이에 따른 증례들을 소상하게 소개할 예정이다. 

#탈회나 우식 걱정 No
언더컷이 없는 미니튜브 교정장치 형태 특징으로 plaque retention 이 없어 소아교정 시 가장 큰 현실적 문제점인 법랑질 탈회의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크기가 매우 작아 교정장치로 인한 gingival swelling 우려도 전혀 없다.  

장치의 profile 이 0.65 mm 로 매우 작아 과개교합 환자의 하악 장치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부착후 장치의 interference가 없어 탈락 염려도 전혀 없다. 장치가 작아 전치부 뿐 아니라 부분 맹출하거나 부분 매복된 대구치의 unlocking 또는 uprighting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 가철식, 기능성 교정장치와도 사용 가능
  장치의 크기가 작아 확장장치나 성장조절 장치 등 가철식 장치와 병용사용이 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반대교합 환자의 치료 중 중절치는 개선되고 측절치만 반대교합으로 남아 있을 때 프랑켈 등 장치를 사용하면서도 미니튜브 얼라인으로 측절치 반대교합을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다. 자연, 가철식 장치 사용기간도 줄일 수 있고 그 디자인도 심플하게 할 수 있어 소아교정치료에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된다. 

# 약한 힘 교정으로 치근흡수도  문제 없어 
혼합치열기 상태에서 교정력 적용시 치근단 클로져가 채 안된 경우 치근의 blunting 이 나타날 수 있다. 무엇보다 light force 가 필요한데 단순한 light force 가 아니라 rest period을 부여하는 ”light intermittent“ 타입의 force가 필요하다. 즉 그냥 가는 와이어를 쓰는 것보다 온도에 따라 force를 내거나 안내는 TA NiTi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현명한 방법이다. 치근 흡수가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성공적으로 교정하는 프로토콜을 40 TA, 45 TA NiTi와 함께 소개할 예정이다.

# 앵커리지 부담도 전혀 없어 
약력교정의  가장 큰 장점은 앵커리지 부담이 없다는 점이다. 혼합치열기 환자 절치의 intrusion 포함해  얼라인을 위해 인접 유치가 앵커리지로 사용될 수 있고, 대구치의 uprighting을 위해서도 인접 유치들이 앵커로 사용되는 간단한 방법을 증례와 함께 소개한다.

약한 힘으로 교정하면 억지로 센 힘으로 교정한 경우에 비해 치료후 relapse 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아울러 012 TA NiTi와 함께 silver tube를 사용할 경우 교정 후 리테이너로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가철식 리테이너의 와이어보다 작기 때문에  환자도 좋아하며  탈락도 되지 않아 술자도  편리하다. 

황  교수는  "미니튜브 교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선생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강의가 될 것"이라며 소아에서 약력교정의 적용을 강조했다.

성인교정연구회에서는 참석자들에게 강의전에 임상 자료를 PDF로 미리 개별 전송할 예정이다. 

한편,  연구회는 올해를 '한국성인교정연구회 제2의 도약'의 해로 정하고 여러가지 학술 행사를 활발하게 개최할 예정이다. 
(문의 02-442-3735)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