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내면을 해독하는 단 하나의 열쇠

상처받은 기분이나 불안한 마음이 끊임없이 지속되는 것도 아니고 늘 관심을 받기 위해 낚시질을 하며 다닐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정상 범주의 자기도취자들은 관심을 밖으로 돌려서 일에 몰두하거나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게 가능하다.

인간 본성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세 가지다. 첫째, 우리는 '심한 자기도취자'라는 현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온전히 이해해야 한다. 심한 자기도취자들은 숫자로 따지면 우리의 다수는 아닐지 몰라도 그중에는 세상에 대단한 해악을 끼칠 수 있는 자들도 있다. 

극적인 상황을 조장하고 우리를 그들의 목적에 사용할 대상으로 만들려고 하는 유해한 사람들을 우리는 반드시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들이 비정상적 에너지로 우리를 끌어들일 때 거기에 걸려 든다면 다시 빠져 나오는 일은 악몽이 될 수 있다. 그들은 전세를 역전시켜 상대가 죄책감을 느끼게 만드는 데 도가 튼 사람들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것은 자기도취적 리더다. 우리는 우리를 잡아끄는 그들의 매력에 저항하면서 겉으로는 창의적으로 보이는 그들의 가면을 꿰뚫어보아야 한다. 살면서 누구나 심한 자기도취자들을 만날 일이 있다. 따라서 그들을 다루는 법을 알아두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다.

둘째, 자신의 본성에 대해 정직해야 한다. 그것을 부정해서는 안된다. 우리는 누구나 자기도취자다. 대화를 나누면 누구나 말을 하고 싶어 입이 근질거리고 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고 내 의견을 제시하고 싶다. 우리는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좋아한다. 훌륭한 내 취향을 거울처럼 보여주기 때문이다. 

적극적인 사람은 적극성을 장점으로 생각한다. 내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심한 사람은 적극성을 역겹다고 평가하고, 오히려 내성적인 성격을 높이 평가할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아침에 약하다. 나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나는 결코 자기도취자가 아니라며 세상의 모든 나르시스트를 맹비난하는 설교꾼들이 실제로는 가장 큰 자기도취자인 경우가 많다. 손가락질을 하며 설교할 때 들리는 자신의 목소리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우리 누구나 자기 안에 빠져 있다. 내가 사랑할 수 있는 자아를 창조하는 것은 건강한 성장 과정의 하나고, 거기에 어떤 오명을 씌울 이유는 전혀 없다. 

하지만 내면에서부터 나오는 자존감이 없다면 우리는 깊은 자기도취에 빠지고 말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목표로 삼아야 할 정상범주의 자기도취 그 이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스스로에게 정직해져야 한다. 자기 자신에게 몰두하는 우리의 본성을 부정하려 하거나 남보다 더 이타적인 사람인 척 하려고 든다면 나 자신을 변화시키는 일은 불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세 번째로 ‘건강한 자기도취자’가 되기 위해 변신을 시작해야 한다. 건강한 자기도취자는 더 강인하고 회복력 있는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늘 눈금의 가장 높은 곳 근처에 머문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