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총의치 최종인상을 위한 개인 트레이(Individual Tray)
3. 총의치 최종인상을 위한 개인 트레이(Individual Tray)
최종인상을 채득하기 위해서는 개인용 트레이를 미리 만들어야 하므로 여기에서는 1차 인상에 의한 plaster cast에서 개인용 트레이를 만드는 과정을 먼저 소개하도록 하겠다.
1) 상하악 트레이의 outline 설정
최종인상 채득시 자가중합레진을 이용한 트레이의 border가 지나치게 연장된 경우 치료실에서 이를 삭제하는데 상당 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모형에 트레이의 outline을 설정해 주어에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트레이의 outline은 조직이 rest 상태일 때 mucosa의 reflection되는 부위보다 1mm 짧게 설정하는데, 이런 방법으로는 어느 정도 조직이 변형된 경 우에는 정확하게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mucosa가 sulcus 쪽으로 돌아 나가는 point를 선택하는 것이 좋 다. 이 부위를 tissue reflection point라고 한다(그림 17).
(1) 상악 개인용 트레이의 outline 설정
Hamular notch의 1mm 후방, fovea palatina의 2mm 후방을 지나는 선을 긋도록 한다. 이것의 목적은 vibrationg line 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후방경계 부위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 선에서 tissue reflection point를 따라 전방을 향해 선을 긋는다. Frenum 부위에서는 트레이의 border를 1mm 정도 짧게 해준다(그림 18a).
(2) 하악 개인용 트레이의 outline 설정
Retromolar pad의 후방에서 ridge에 직각이 되도록 선을 긋고 external oblique ridge 바깥 1mm되는 부위에 선을 그어 후방선과 만나도록 한다. External oblique ridge의 전방 부위에서 tissue reflection point를 따라 전방으로 선을 긋는 반대편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을 그어 주면 된다. 설측 sulcus에서도 tissue reflection point를 따라 선을 긋고 후방쪽으로는 retromylohyoid fossa 후방에서 상방으로 선을 그리게 된다. Mylohyoid muscle 부위의 트레이에 공간을 형성해 주어 인상 채득 과정 중 근육의 수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wax로 2mm정도 두께가 되도록 relief 해준다(그림 18b).
2) 상하악 트레이의 제작
(1) 상악 트레이의 제작
상악의 Closs-fitting tray는 vinyl poly siloxane의 인상을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이 경우에는 undercut area 부위만 block out하고 자가중합 레진을 Tissue reflection point를 연결하는 line에 맞게 적합시켜 만들어 준다. 그리고 치조골의 정 중부와 양측 제1대구치 부위에 손잡이를 만들어 주면 좋다(그림 19c)
(2) 하악 트레이의 제작
하악의 경우도 상악의 close-fitting 트레이를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다. Tissue reflection point를 연결하는 line에 맞게 적합시켜 만들어 준다. 손잡이는 정중부와 양쪽 제1대구치에 해당되는 부위에 형성해 준다(그림 20c).
4. 총의치를 위한 최종인상(Secondary impression; Final impression)
최종 인상의 목적은 유지가 좋은 의치상을 만들기 위한 인상을 채득하는 것이며, 이러한 유지가 좋은 의치상은
1) 변연부위에서 sealing이 일어날 수 있게 displaceable tissue 위에 놓이도록 연장되어야 하며,
2) 의치상 변연부에 인접한 조직은 sealing을 위하여 적당하게 변형되어야 하며,
3) 하방의 점막조직과 가능한 한 밀접하게 접촉되어야 하며,
4) 유지를 위하여 maximum coverage가 되도록 연장되어야 한다. Final impression은 아래 (그림 21)과 같이 변연부가 인상재에 의해서 border moulding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때 stick compound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silicone impression 채득 전에 pre-border molding을 하는 과정은 필요하지 않 으며, 조직의 displacement의 양은 인상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과 구강조직의 성질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