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무치악환자의 악간관계 및 틀니를 위한 악간관계 형성 (1)

2. 무치악 환자의 상하악의 수평적 관계를 결정하는 방법
무치악 환자의 교합평면과 OVD(교합수직고경)이 먼저 결정된 후에 환자의 하악 과두가 optimal condylar position인 Centric Relation 상태에서 상하악 치아가 Intercuspal position(Centric occlusion)이 되도록 상하악의 수평관계를 결정 해 주어야 한다(그림 34).
 

△ (그림 34)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과두가 optimal condylar position인 Centric Relation 상태에서 치아가 Intercuspal position이 되도록 상하악의 수평관계를 결정해 주어야 한다.
△ (그림 34)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과두가 optimal condylar position인 Centric Relation 상태에서 치아가 Intercuspal position이 되도록 상하악의 수평관계를 결정해 주어야 한다.

3. 무치악 환자의 상하악관계를 채득하는 방법
1) Record base의 제작
무치악 환자의 상하악의 3차원적인 수직 및 수평적인 악간 관계를 채득하기 위해 Record base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방법은 ① 상하악의 centric jaw relationship(중심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② 구강 내에서 base plate와 교합상의 위치가 하악의 회전축에 대한 관계를 교합기의 회전축에 동일하게 옮길수 있도록 facebow record를 채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Record base는 총의치 완성 시까지 제거되지 않고 총의치 base의 일부분으로 남는 Permanent record base와 의치 제작의 과정 중 Try-in 시까지 사용되며 최종적으로는 제거되어 denture base material로 대체되는 Temporary record base로 나뉘나 Permanent record base 사용 시 모형의 Flasking 및 레진 packing & curing을 두 번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일반적으로 Temporary record base에 wax rim을 올려서 3차원적인 상하악 관계 및 인공치아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2) Temporary record base의 시적
현재는 temporary record base를 제작한 뒤 상방에 wax rim을 쌓고 이를 이용하여 상하악 악간관계를 채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emporary record base(그림 35)의 제작 재료로는 화학중합형 아크릴릭 레진, 광중합형 아크릴릭 레진 등이 주로 쓰인다.
 

△ (그림 35) 악간관계 채득을 위한 상하악 Record base 위에 형성된 Wax Occlusion Rim.
△ (그림 35) 악간관계 채득을 위한 상하악 Record base 위에 형성된 Wax Occlusion Rim.

악간관계 설정 전에 우선 Temporary Record base의 유지력 검사가 요구되며, record base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 지력이 없는 경우가 있다.
① 과도한 연장-과도하게 변위된 조직들의 긴장은 의치상의 변위를 일으킨다.
② 부족한 변연의 연장이나 post dam의 결여-변연조직에서 탄성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③ 구강조직의 부적절한 형태나 탄력성의 문제
④ Record base의 온성 중에 발생한 Record base의 뒤틀림

Record base가 과도하게 연장되었다고 생각되는 부위에 disclosing wax 또는 paste를 바른 후 의치상을 환자의 구강에 장착하고 크게 개폐운동을 시킨다. 하악 의치상의 경우에는 혀를 앞으로 내밀게시킨다. 구강에서 의치상을 제거한 다음에 과도하게 연장된 부위를 denture bur로 조심스럽게 삭제한다. 이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base의 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record base가 짧게 연장된 base 이미 만들어진 base에 Tokuso Rebase 같은 temporary resin을 첨가하거나 Green stick compound를 이용하여 연장시켜 줄 수 있으며, Record base가 유지력이 없을 경우에는 denture adhesive cream을 이용하거나 Pressure indicating paste를 이용하여 악간관계 채득시 record base의 움직임을 줄여 주고 악간관계 채득 후 denture adhesive cream 이나 paste를 제거해 준다.

 

3) 무치악 환자의 상하악 악간관계 설정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무치악 환자의 상하악 관계를 채득하는 방법은
첫째, Record base가 구강 점막에 잘 적합되게하고,
둘째, Lip support와 상악 전치부 길이및 Occlusal plane을 결정하고, 하악의 occlusion rim을 필요한 vertical dimension이 되도록 trimming 해 준 후에,
셋째, 적절한 horizontal relationship 상태인 centric jaw relationship 상태에서 상/하악 occlusion rim을 bite registration material에 의해서 고정한다(표 2).

(1) Lip support의 평가
환자의 모든 안모와 측모를 관찰하며 적절한 lip support가 되도록 wax rim을 조절해준다. 만일 lip support가 부족하면 vermilion border가 적게 보일 것이고, 비순구가 깊어질 수 있다. lip support가 과도하게 되면 상부 조직의 변형이 생길 수 있고, 쉽게 관찰된다.

(2) 교합평면의 높이와 위치 평가
상악 교합상의 교합평면과 그 순측 형태를 조정하는 이런 과정은 악간 관계를 기록하는 것과는 엄밀히 말해 관련이 없지만, 그 다음 단계에서 치아를 올바른 위치에 배열하기 위한 편의를 제공해 준다.

상악 교합제의 lower border는 상악 중절치의 절 단부가 위치가 될 높이로 해준다. 이 높이는 상순의 경계 아래에서 상악 중절치의 절단부가 얼마나 많이 보이는가를 결정한다. 그 양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구순이 긴 환자에서는 그 양이 더 작고 치아들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고, 구순이 짧은 환자에서는 치아가 더 길게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60대 환자에서 치아가 노출되는 평균적인 양은 1mm이다. 70-80대 연령이 증가 할수록 노출양은 줄게 된다. 상악치열의 전후방으로 성인에서 Camper’ s plane (Naso-Tragus line)과 Occlusal plane은 평행을 이룬다(그림 36).

△ (그림 36)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Camper's plane (Naso-Tragus line)과 Occlusal plane은 평행을 이룬다.
△ (그림 36)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Camper's plane (Naso-Tragus line)과 Occlusal plane은 평행을 이룬다.


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