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ght Implant, Filler 중심으로 임상 교육·네트워크 확장 본격화
[덴탈뉴스=홍혜진 기자]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덴티움이 신제품 ‘bright Implant’의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인허가 획득을 바탕으로, 10월 한 달간 중국 주요 도시인 사천성 성도, 운남성 쿤밍, 상하이에서 연속 개최한 임상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의 공식 인허가를 계기로 중국 시장에 적합한 임상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지 임상의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10월 18일 중국 사천성 성도에서 열린 세미나는 치과 임상 내 필러와 톡신의 정밀한 응용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는 정성민 (덴티움 치과) 원장과 조영단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가 연자로 참여해, 단순한 주름 개선을 넘어 필러를 활용한 임플란트 환자의 안모 조화와 심미적 만족도를 높이는 새로운 임상 접근을 제시했다.
정성민 원장은 턱관절 장애 및 하안면 근육 불균형 환자에서의 톡신 적용과 필러의 구강 내 정밀 주입술에 대해, 실제 임상 영상을 통해 안전한 시술 깊이와 해부학적 주의점을 공유했다. 이어 조영단 교수는 치간유두 퇴축(블랙 트라이앵글) 개선을 위한 필러의 심미적 응용을 다루며, 연조직과 치은 형태를 함께 고려한 술식을 소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능적 개선과 심미적 치료를 융합한 새로운 치과 임상 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치과계 내 시술 영역 확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SNS를 통해 북경·광동 등지에서도 세미나 요청이 이어지며 현지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이튿날인 10월 19일에는 같은 성도 지역에서 ‘bright Implant & Digital Forum’이 열렸다. 포럼에는 조영단 교수, 정성민 원장, 그리고 사천대학교 화서구강병원 임플란트과 교수인 Prof. Mo An Chun, Prof. Tan Zhen 양국의 저명한 임상가들이 참여했다. 세션에서는 OSTEON™ Xeno 골이식재와 bright Implant 시스템을 활용한 최신 임플란트 기술 트렌드가 공유되었으며, 실제 케이스 기반의 상악골 거상술 및 골이식 Hands-on 실습이 병행되었다.
또한, 덴티움은 화서구강병원 교수진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디지털 네비게이션 시스템 공동 연구 방향을 논의했으며, 공동 강연과 Hands-on을 통해 상악동 및 골이식 분야의 임상 지견을 교류하며 사천성 지역 의료진과의 학술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했다.
10월 20일, 운남성 쿤밍시에서는 덴티움과 쿤밍시구강병원이 공동 주최한 세미나가 열려, 임플란트 임상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번 포럼은 bright Implant의 ‘Simple & Easy Concept’을 중심으로, 실제 임상 적용 사례와 향후 기술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다룬 점이 특징이다.
행사에는 한국의 정성민 원장(덴티움 치과)과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을 비롯해 중국의 젊은 임플란트 전문의들이 참여해 양국 간 임상 교류를 이어갔다.
정성민 원장은 ‘임플란트 기술의 미래 발전 방향’을 주제로 bright Implant의 임상적 안정성과 디지털 기반 시술 프로토콜을 소개했으며, 박병규 원장은 ‘Narrow ridge에서의 정밀한 임플란트 식립’을 발표해 bright Implant의 설계 구조와 시술 효율성 향상 방안을 공유했다. 특히 Dr. Jia Shen(섬서중의약대학교 부속 제2병원)의 강연은 골이식 분야에서의 중국 기술 수준이 세계적 단계에 도달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Dr. Zeng Hao(무한대 구강병원)의 발표에서는 골이식재의 세부 응용과 수술 프로토콜이 공유되어, 중국 내 임플란트 교육의 깊이와 전문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포럼을 통해 덴티움은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현지 공립병원 및 임상의와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교육 중심의 브랜드 이미지를 한층 강화했다. 특히 중국 서남부 시장에서 bright Implant의 기술적 우수성과 임상 교육 역량을 동시에 입증했으며, 주요 거점 병원과의 협력 체계를 확대하고 지역 맞춤형 임상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반을 공고히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 상하이에서는 ‘DenTech China 2025’ 전시와 연계된 bright Implant 및 OSTEON™ Xeno 런칭 세미나와 Hands-on 교육이 진행되어 중국 전역의 임상가들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또한, 사천대학교·남경의과대학교 등 국립대학병원 교수진이 직접 참여해 임플란트의 차세대 기술 방향과 임상적 응용 전략을 다각도로 다루며 학술적 신뢰도를 높였다.
이번 세미나는 상악동 수술의 최신 기술과 합병증 대응을 주제로, 중국 주요 교수진의 강의와 덴티움 제품을 활용한 협업 세션으로 구성됐다. 단순하면서도 정밀한(Simple & Precise) 시술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한 교육은 현지 임상의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실습형 프로그램으로 호평받았다.
오전 세션은 Prof. Man Yi (사천대 화서구강병원) 교수의 ‘치조능 상부 상악동 거상술의 핵심 기술과 최신 발전 동향’으로 시작됐다. 상악동 거상 시 복잡한 해부 구조와 골질에 따른 접근법, 안정적인 골이식 환경 구축에 대한 실질적 노하우가 공유되었다. 이어 정성민(덴티움 치과) 원장이bright Implant의 혁신적 구조와 bright CT를 활용한 디지털 기반 수술 프로토콜을 소개하며, “단순하면서도 정밀한(Simple & Precise) 시술 경험이 가능한 차세대 솔루션”으로 bright Implant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Prof. Tang ChunBo (남경의과대 임플란트과 주임)교수가 ‘상악동 골증대 및 식립 실패의 병인과 예방·대응 전략’을, 이어 Dr. He BingHao (상하이 헝쩡 클리닉) 원장이 ‘신제품 실습 세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직접 bright Implant 제품을 시연하며 실질적인 체험과 피드백을 나눴고, 제품의 체결감·안정성·시술 편의성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덴티움은 이번 행사를 통해 국립대학병원 및 지역 병원과의 연계 활동을 기반으로 한 로컬 네트워크 확산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bright Implant의 중국 내 임상 영향력 확대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덴티움은 이번 3개 도시 세미나를 통해 중국 내 임상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bright Implant의 기술력과 브랜드 신뢰도를 동시에 높였다. 특히 NMPA 인허가 획득을 통해 확보한 제도적 기반 위에, 공립병원·국립대학병원과 연계된 임상 네트워크 확산이 더해지며 중국 시장 내 영향력 확대가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덴티움 관계자는 “현지의 피드백을 반영한 맞춤형 세미나와 지속적인 Hands-on 교육을 통해 bright Implant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중국 시장에서의 신뢰를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