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안전한 치과의료 서비스 제공 위한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강화

치과 진료의 특성상 세균과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주 통로인 입 안을 다루고, 혈액과 타액에 직접 접촉하는 치과의료기구가 많아 치과감염관리는 중요하다.
그러나 이제까지 치과감염관리의 기준이 되는 지침이 없어 개별적으로 외국의 감염관리지침이나 의과계 감염관리지침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이에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치과의 감염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치과감염관리지침을 개발해 전국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에 배포한다.
이 지침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치과감염관리지침을 표준화한 결과물로 과학적인근거에 기반해 제작됐다.

특히 우리나라 치과의료 현실을 반영하고, 외래 중심의 치과진료 감염관리방법을 중점적으로 담았다.
치과용 의료기기를 소독하고 멸균하는 방법과 절차, 환자들 입안에 직접 닿는 치과 진료용 물을 깨끗이 관리하는 방법, 금니나 틀니 치과 기공물의 소독방법 등 치과에 특화된 항목으로 구성해 치과 종사자에게 적합한 감염관리 지침이 되도록 노력했다.

장재원 구강정책과장은 “이번 지침이 치과계 감염관리의 기준으로 자리 잡아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향후 복지부는 치과 병·의원 규모별, 대상별로 특화된 교육자료 개발·보급 및 치과병원 인증 평가의 감염관리 분야 개선을 통해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역량을 강화해 나갈예정이다.

한편, 이번 지침은 치협을 포함 치과병원협회, 대한치의학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대한치과감염관리협회의 승인을 받아 제작됐다.

# 환자진료시 오염되기 쉬운 표면
진료실 작업대(countertop), 서랍장 손잡이, 핸드피스 조절판, 핸드피스 연결수관, 치과 유니트체어의 머리받침대, 광중합기 손잡이와 팁, 치과용 표준색상표(shade guide), 진료용품 보관용기, X-ray 조절 계기판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