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Denture 제작

 

6) 치아 상실에 따른 치조골흡수 양상과 Poundʼs line
발치 후 치조골이 흡수되는 진행 과정은 상악과 하악이 다르다. 
치조골흡수가 심하게 진행되면 Pound’s line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한다.

(1) 하악 무치악 상태에서 치조골흡수 진행 과정
치밀골이라 상악 치조골에 비해서 흡수량이 많지 않고 악궁 폭 감소가 적다. 협설측 흡수는 적고 치조정 부위가 하방으로 흡수되면서 낮아진다.

(2) 상악 무치악 상태에서 치조골흡수 진행 과정
상악은 무치악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외측 치조골흡수가 심하게 진행된다. 전치부와 구치부 치조제는 흡수가 진행되면서 치조정이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로 구치부 레진 치아는 치조정선보다 협측에 위치하게 된다.

저작 시 지지 능력은 자연치아에 비해서 20% 정도 수준이다. 
무치악 상태가 오랫동안 진행될수록 지지 기반인 치조골량이 축소되고 상·하악 교합관계 편차가 증가한다. 이 결과로 저작 기능은 더욱 저하된다.
 

(3) 상악과 하악 제1대구치 좌·우 치조정 간 거리
모델 상에 그려진 푸른색 선은 치조정선을 그린 선이다. 
모델 상에서 제1대구치 부위 치조정선 거리는 상악 40mm, 하악 47mm이다.
Wax denture 상에서 제1대구치 레진 치아 central fossa 좌·우 거리는 상악 42mm, 하악 41mm이다. 이 기준으로 보면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 배열은 치조정선에서 훨씬 설측으로 배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하 대구치 레진 치아 배열에서 7mm 차이를 어떤 방식을 선택할 지가 틀니 유지력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 배열을 상악 구치부 레진 치아를 따라서 무작정 설측으로 배열할 수 없다.

 

(4) Pound’s line과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 배열 위치
① Pound’s line
Pound 박사가 정립한 이론으로 retromolar pad 설측면과 견치 근심면을 연결하는 선이다.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 설측면이 이 선을 넘으면 안 된다. 상악 구치부 배열을 따라 무리하게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를 설측으로 배열하면 혀의 운동을 방해하고 혀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 결과 혀의 후방 이동으로 mental spine 위치에서 혀가 밀착하는 것을 방해한다.
구치부 배열은 하악을 먼저 배열한다.
설측교두 부위가 Pound’s line을 넘지 않게 배열한다.
부득이하게 구치부 레진 치아 설측교두가 Pound’s line을 넘어 배열될 가능성 있으면 크기가 제일 작은 레진 치아를 선택하거나 설측 부위를 교합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삭제한다.

② Lingualized occlusion
상악 구치부는 치조골흡수가 협측부터 진행된다. 치조골흡수가 심해지면서 상악 구치부 레진 치아는 치조정선을 벗어나 협측으로 배열된다.
여기에 상응하는 하악 구치부 레진 치아 또한 치조정선보다 설측으로 배열된다.
이런 결과로 교합접촉 방식은 lingualized occlusion 방식이 유리하다.

7) Treatment denture 시적과 조정
(1) Spillway
구치부 후방은 음식물이 이동하는 공간인 spillway가 충분해야 한다. 10mm 정도 공간이 필요하다.

치조골흡수가 오랫동안 진행된 상악 틀니 크기가 매우 축소되었다. 하악 틀니에서도 retromolar pad 앞쪽에 공간이 부족하다. 

레진 치아를 모두 배열하면 음식물이 이동하는 공간, 즉 spillway 기능에 문제가 된다.
배열 후 구치부 후방 공간이 부족할 때 치과의사와 이 문제를 상의해서 소구치 또는 대구치 1개를 줄이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Spillway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진료실에서 제2대구치 레진 치아를 삭제하였다.

(2) Fit checker를 이용한 내면조정
Fit checker를 이용한 틀니 내면조정은 매우 편하고 유용한 과정이다.
① Fit checker의 장점
a. 흐름성이 우수하고 경화 시간이 짧다. 틀니 인상면과 잇몸이 심하게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를 쉽게 보여 준다.
b. Denture border 부위에 연장이 부족하거나 과한 부위를 보여 준다.

(3) Tissue conditioner를 이용한 relining
Treatment denture 내면조정 과정에서 tissue conditioner 역할은 절대적이다.
Fit checker를 이용하여 내면조정을 하고 난 후 tissue conditioner 를 틀니 내면에 relining 한다.

① Tissue conditioner 장점
a. Treatment denture나 old denture 내면을 조정하여 틀니 내면과 잇몸 접촉을 긴밀하게 한다.
b. 부족한 border을 연장하여 유지력을 향상시켜 준다.
c. 삭제와 보충을 수시로 할 수 있어 완성 틀니 결과를 예측하는 지표이다.

② 상악 relining
상악 틀니는 2회에 걸쳐 tissue conditioner를 첨가하여 유지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두 번째부터는 tissue conditioner를 더 묽게 혼합하여 얇게 채우도록 한다.

                 다음 호에 계속 

김경헌 원장 
現 예가치과 원장
•틀니임상, 감에서과학으로! (2021년, 대한나래출판사) 저자 
•전치부 심미보철을 위한 콜라보 저자 (2021, 대한나래출판사) 저자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