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팀의 구성

안녕하십니까? 더블엠 구강악안면외과치과의원 김현섭 원장입니다. 총 12회에 걸쳐 ‘구강외과 수술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임상칼럼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수술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앞서 ‘전신마취수술’과 ‘국소마취수술’에 대해 말씀드렸으며 또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 이루어지는 치과진료, 치과수술시스템에 수술실시스템에서와 같은 원리와 원칙을 융통성있게 적용하자고 말씀드렸습니다.

‘전신마취’로 진행되는 ‘악안면외과대수술’이 시행되는 ‘수술실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 ‘국소마취'로 진행되는 ‘치과수술, 구강외과 소수술’을 바라보면, 놓치고 있는 것들을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중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 첫번째 내용이 바로 수술팀의 구성에 대한 것입니다.

# 공통의 수술 개념
지금부터 말씀 드릴 내용은 모두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실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치과 외래진료, 수술에 응용할 수 있도록 그 개념을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즉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실에서 비롯된 ‘수술개념’들이지만 치과유니트 체어에서 이루어지는 국소마취 소수술에서도 같은 ‘수술개념’이 응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일반치과치료에서도 마땅히 응용되어야 할 ‘수술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술자(operator)
치과용 유니트체어에서 국소마취수술을 시행하든, 수술실 수술대에서 전신마취 수술을 시행하든 모든 수술은 결국 ‘수술팀’, ‘진료팀’에 의해서 시행됩니다.
시술이든 수술이든 치료의 책임자로 실제 치료를 진행해 가는 사람을 ‘술자(operator)’라고 합니다.
술자는 곧 외과의사(surgeon)이며 로컬치과에서는 대개 치과의사이거나 또는 치과위생사(스케일링을 혼자 시행하는 경우)입니다.

# 제1, 2 협조자(1st, 2nd assistant)
술자외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즉 수술필드에 들어오는 수술팀으로는 ‘제1, 2 협조자(1st, 2nd assistant)’ 그리고 기구전달협조자(instrument delivery assistant)가 있습니다.

로컬 치과의원에서 ‘술자’가 치과의사인 경우 ‘제 1, 2 협조자’는 치과위생사일 수 밖에 없으나 대학 병원에서는 ‘술자'와 ‘제1, 2 협조자’ 모두가 치과의사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수련을 위한 방편적인 수술팀 구성이지 현실적인 수술팀 구성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 기구 전달 협조자(instrument delivery assistant)
‘기구전달협조자’라는 용어는 다소 생소하게 들리실 수 있겠습니다.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실에서 소위 ‘스크럽널스(간호사)’라고 불렸던 바를 필자가 기구전달협조자로 고쳐 명명한 것입니다.
수술실에서는 간호사가 기구전달 협조자로서 역할해야 했었겠지만 로컬치과 즉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는 치과위생사가 기구 전달 협조자로서 역할해야 할 것입니다.

# 치과위생사는 보조자인가 협조자인가
의사가 간호사와 손발을 맞춰 환자를 보듯, 치과의사는 치과위생사와 손발을 맞춰 환자를 봅니다. 치과의원에서 환자를 본다는 것은 당연히 수술을 포함하는 것이고 치과위생사는 치과수술에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협조자로서 참여해야 환자에게 이로운 일이 될 것입니다.

필자는 수동적인 ‘보조자’에 머무르지말고 보다 능동적인 협력을 바란다는 차원에서 ‘협조자’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말에는 변화를 유발하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네 손 치과 치료(또는 수술)
수술 팀 중 몇 명이 필드에 들어오는지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말씀드리자면 필드에 몇 개의 손이 들어오는 지에 따라 네 손, 여섯 손또는 여덟 손 치과치료(또는 수술) 중 어떤 시스템인지가 결정됩니다.
특히 4-handed dentistry(or surgery)에 대해서는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3-handed dentistry(or surgery)에 머무르지 말고 4-handed dentistry(or surgery) 시스템으로 치료를 시행하자라는 개념으로 십수년 전부터 이미 치과계에 알려진 바 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쉽게도 국내 치과 임상에 그 개념이 온전히 녹아들지 못한 것 같지만 해외에서는 잘 알려진 개념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이번에 수술팀의 구성과 관련해서 4-handed 를 넘어 6-handed dentistry(or surgery) 를 강조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여섯 손 치과 치료(또는 수술)
6-handed dentistry(or surgery)의 핵심은 곧 ‘기구 전달 협조자’를 상정하는 것입니다. 치 과 외래에서 일반적인 치과 치료시 4-handed dentistry(or sugery)가 가장 기본적으로 세팅되는 진료팀 구성입니다.
이 경우 이미 잘 알려진 바처럼, 제1 협조자는 반드시 양 손을 모두 사용하여 수술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3-handed dentistry(or surgery)에 머무르지 않고 4-handed dentistry(or surgery) 시스템을 지향해야 합니다.

사랑니 발치, 간단한 임플란트 식립수술 등 간단한 치과 소수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반치과진료의 경우 술자와 제 1 협조자의 양손이 모두 수술 필드에 들어와 있는 4-handed dentistry(or surgery) 시스템이면 손이 충분합니다.

# 여섯 손 치과치료(또는 수술)의 효용
하지만 상당히 복잡한 고난이도의 수술이 치과 진료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면 4-handed dentistry(or surgery) 시스템만으로는 손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수술을 빨리 끝내기 위해서라든지 수술의 성패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술식의 순간이라든지, 즉 술자가 오직 수술부위, 치료 부위만 집중해서 봐야하고 잠시도 눈을 땔 수 없는 그런 중요한 상황이라면 4-handed dentistry(or surgery)인 경우라도 손이 부족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즉각 ‘기구 전달 협조자’를 수술팀으로 상정하여 6-handed dentistry(or surgery) 시스템을 만들어야 비로소 부족한 손이 보충되며 술자는 보다 필드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 여섯 손 치과 수술 - 치과 소수술에서
이 경우 기구 전달 협조자의 위치를 어디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음 이어지는 내용에서 자세하게 설명드겠습니다.
Rear, side delivery 개념이 먼저 이야기돼야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다만 4-handed의 한계와 6-handed dentistry(or surgery)의 필요성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즉 복잡한 치과 진료에서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집중력을 발휘해야하는 상황에서 또는 빨리 치료를 끝내야 하는 경우에서 즉각 ‘기구 전달 협조자’를 상정하여 치료에, 수술에 투입함으로써 술자는 보다 필드에만 집중할 수 있어 문제를 빨리 해결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강조드리는 6-handed denti stry(or sugery) 개념이며, 수술 시에서 비롯된 수술개념 중 하나로 일반치과진료 시에도 응용될 수 있는 수술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 여섯 손 치과 치료 - 치과 일반 시술에서
필자는 지금 구강악안면외과 수술이외의 다른 치과치료는 하고 있지 않습니다만 과거에 인레이 또는 레진치료등 일반치과시술을 시행해야 했을 때, 기구전달협조자를 상정하여 6-handed dentistry 시스템으로 진료팀을 구성하여 진료를 시행했었습니다. 뿐만아니라 이미 많은 일반치과진료에서 많은 치과의사선생님들이 6-handed dentistry 시스템으로 진료를 시행하고 계시기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수술팀은 수술의 난이도와 수술의 범위에 따라 구성되는데, 간단한 구강내 시술의 경우 술자 혼자서 수술을 진행하는 즉, 2-handed dentistry에서부터 복잡한 악안면 대수술의 경우 술자와 제1, 2 협조자 그리고 기구전달협조자까지 수술 필드에 참여하는 8-ha nded surgery까지 다양하게 수술팀이 구성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6-handed denti stry(or surgery)의 경우 ‘제2 협조자’가 아니라 ‘기구 전달 협조자’가 수술팀으로 상정된다는 것입니다.

#순환 협조자(circulating assistant)
마지막으로 순환 협조에 대해 강조하겠습니다. 수술 필드 내로 들어오는 수술팀 말고 수술 필드 안에 들어오지는 않지만, 수술 필드 밖에서 수술 진행에 꼭 필요한 역할을 해 주는 ‘순환 협조자(circulating assistant)’의 역할에 대한 인지가 수술팀 구성 시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역시 수술실에서 비롯된 수술 개념중 하나이며 치과진료 시에도 응용 가능한, 반드시 응용해야 할 개념이기도 합니다. 수술 필드를 무균 상태로 유지하고 멸균 부위와 오염부위를 구별하고 수술시간을 단축 시키기 위해 반드시 순환협조자가 상정되어야 합니다.

필드 밖에서 필요한 수술 기구, 재료 등을 필드내로 전달해 주거나, 필드밖에서 기구, 장비등을 연결하고 점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순환 협조자의 역할은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유니트 체어상 치과진료, 수술 시 마찬가지입니다. 술중 유니트 체어의 라이트(수술 조명)를 맞추거나, 술중 스탠다드 PA 방사선사진 또는 임상사진을 촬영하는 일 등이 순환 협조자의 역할입니다.
핵심포인트는 별도의 순환 협조자가 상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수술에 이미 참여 하고 있는 협조자가 이와 같은 순환협조자의 일을 맡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수술 부위의 멸균을 유지하고 수술의 흐름이 끊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별도의 순환 협조자가 상정되어야 합니다.

김현섭 원장
김현섭 원장

 

글_김현섭 원장

전남대학교치과대학 졸업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수료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전문의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인정의
現) 더블엠 구강악안면외과 치과의원 원장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