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윤아 교수팀, MCPP 비발치와 발치 교정 비교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국윤아(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치과) 교수(교신저자), 치과교정의 파와즈 알파 와즈(Fawaz Alfawaz, 제1저자, 본원 레지던트 수료) 연구팀이 심한 수평피개를 가진 제2 급 부정교합환자를 대상으로 비발치교정법 (MCPP)과 소구치발치 교정법치료 결과를 비교한 결과, 유의할만한 골격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비발치 교정법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 비발치 교정은 자연치아 보존이 큰 장점
수평피개는 위아래 치아가 맞물리도록 했을때 상악 앞니의 뒷면과 하악앞니의 앞면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정상적인 수평피개는 보통 2~3mm이나, 돌출입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4~5mm 이상의 큰 수평피개를 보이기도 한다.
연구팀은 심한 수평피개를 갖고 있는 제2급 성인부정교합 성인환자 46명을 대상으로 MCPP를 이용한 비발치 치료군(25명, 평균 나이 22.5 ±7.2세), 윗턱 작은 어금니발치 치료군(21명, 평균 나이 23.4 ± 6.5세)으로 나누고, 치료 전후 두부방사선 계측영상검사 이미지를 26개의 변수를 이용해 골격및 치아 연조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비교했다.
각 실험군간 치료 전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계 검정, 다변량 분산분석등의 통계분석기법을 시용했다.
연구결과 비발치 치료군에서는 수평피개가 평균 4.8mm(전 8.1mm → 후 3.3mm), 발치 치료군에서는 5.4mm(전 8.4mm→ 후 3mm) 감소했다. 두 실험군에서 상악 전치의 수직적, 시상적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비발치 치료군과 발치치료군의 비순각은 각각 7.5°, 9.4°만큼 증가했다.
# 국윤아 교수가 최초 개발한 MCPP 비발치 교정법
MCPP 비발치교정법은 국 교수가 지난 2006년 세계최초로 개발했으며, 발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상악치열을 후방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과거 헤드기어와 같이 구외(口外) 장치를 착용해 치료했었다.
이와달리 특수하게 고안된 골격성고정장치를 입천장에 고정해 심미적으로 효과가 있고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어금니와 전체 치열을 치아 뒤쪽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발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골격적 부조화가 심해 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MCPP를 사용해 비수술 교정치료를 할 수 있고, 치열에 공간이 부족해 치아가 매복되어 있는 환자도 치열을 후방이동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해 매복된 치아를 살려서 사용할수 있다.
한편 MCPP 장치는 2019년 미국 최신치과교정학 교과서 개정판(Contemporary Ort hodontics, 제 6판, ELSEVIER)에 훌륭한 치료효과가 소개된 바 있다. 이 장치는 제품명 MCPA로 ㈜신흥으로 기술이전 되어 국내와 미국에 특허출원이 되어 있다.
국윤아 교수는 “MCPP를 이용한 비발치 치료와 발치치료 결과를 비교했을 때 유의 할만한 골격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수평피개의 감소량도 두 군이 유사했다”며, “수평피개가 심한 환자가 MCPP 비발치 교정법을 통해 자연치아를 살리면서 교정치료를 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Orthodontics & Craniofacial Research’ 온라인판에 최 근 게재됐다. (본지 29·30면 원문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