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데이터 기반으로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도약 추진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도래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와 건강관리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분야에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D.N.A) 등의 디지털 기술이 접목돼 활용되는 형태다.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책방향은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와 함께 의료 서비스 패러다임이 공급자·치료 중심에서 환자·예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실제로 해외 주요 선진국은 이미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을 위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차원의 ‘디지털 헬스 혁신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했다. 미국의 경우 21세기 치료법을, 일본은 차세대 의료기반법, 독일은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법을 수립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정책추진을 통해 고령화 등 사회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국가적 신산업의 근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디지털 기반 의료기기와 의료기관 진료기록을 의료서비스에 활용하는 의료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이 핵심 분야다.

이에 현 정부에서도 정부 최초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국정과제 전면에 내세웠다. 보건복지부는 6월 27일(월) 서울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차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를 통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신뢰를 기반으로 주요 정책방향을 결정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방향, △임상데이터 네트워크(K-CURE) 사업 추진계획, △의료 마이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보건의료 데이터와 인공지능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산해 전 국민의 의료의 질 향상과 국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을 지속할 것”임을 강조했다. 덧붙여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와 체감도 높은 성과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는 의료정보 및 보건의료데이터 정책 추진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위원장으로 바이오·디지털헬스 정책을 담당하는 보건산업정책국장과 의료계, 연구계, 학계, 법률·윤리계, 환자·사용자단체, 보건산업계, 공공기관의 대표가 참여했다. 

치과계도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요원하지는 않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