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수복(완)

임플란트 보철수복의 술식의 단계적으로 고려사항
임플란트 보철수복 과정 중 (표 1) 과 같은 여러단계의 고려사항중 몇가지 주요사항을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1.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전처지
임플란트의 식립 시기는 Immediate placement, Recent placement, Delayed placement, Mature site placement로 나눌 수 있다(표2). 치아 발거 후 임플란트의 즉시식립인 경우는 치아의 치근직경이 작고 조건이 양호한 경우에 추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치아의 발거는 치근단병소가 있거나 치주질환을 심할 경우라고 본다.
1) 발치후 임프란트가 고려되는 대부분의 경우에 치아의 발거 및 치근단 병소의 제거 후 치조재의 보존을 위하 거나 치경부 GBR을 통해 치조골 재생술(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2) 발치한 치아의 기존 병소와 치조골의 흡수정도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하기 전에 적정기 간의 치유기간을 허용 하고 임플란트 식립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2.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SurgiGuide의 제작 및 수술
1) 치종 보철물을 기초로 한 Top-down concept에 의한 임플란트의 숫자 및 3차원적(위치, 경사도, 깊이) 고려에 의한 SurgiGuide가 제작 시술되어야 하며, Fixture에 cover screw를 잠근 높이 와 alveolar bone의 Crest 와 일치하도록 심어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Surgi Guide는 제한점을 이해하고 시술중 방사진사진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2) Implant의 2차 수술 시에 Bone Profilor를 이용하여 Fixture Platform 주위의 alveolar bone 을 flattening 시켜주는 것이 좋고(그림1), 해당 치아의 치경부 크기를 고려하여 Healing abutment의 직경을 선택하고 Gingiva 의 두께를 고려해서 길이를 선택해준다.
 

△ (그림1)(2차 수술시에 Bone Profilor를 이용하여 Fixture Platform 주위의 alveolar bone을 flattening 시켜주는 것이 좋다.
△ (그림1)(2차 수술시에 Bone Profilor를 이용하여 Fixture Platform 주위의 alveolar bone을 flattening 시켜주는 것이 좋다.

3.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작
Implant fixture 식립후 보철물을 연결해주어 교합하중이 가해지는 시기에 따라 Immediate loading, Standard loading, Delayed loading으로 나눌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즉시 Temporary 혹은 Permanent prostheses을 연결시켜 주어 Immediate loading일 경우에는 Fixture의 stability test에서 충분한 고정력이 있을 경우에는 가능하다고 본다. 일반적으로는 2-3개월의 골유착 기간 경과 후 최종보철물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며, 골이식 병행 및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Delayed loading이 되도록 해준다.

1) Impression은 Sacn body를 이용한 Digital impression, 기존의 impression coping을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Fixture level 혹은 Abutment level로 나눌 수 있고 Pick-up type과 Transfer type으로 나눌 수 있으며, Customized abutment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Fixture level-Hex type impression coping 이용한 인상을 채득을 추천한다.
2) Custom abutment의 Fixture에서부터 보철물 Margin까지의 형태는 Concave하거나 Straight 형태로 제작해주어, 장기적인 인접 근원심 및 협설측 치은의 건강을 위해 공간을 확보해주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그림2).

(그림2) Custom abutment의 Fixture에서부터 보철물 Margin까지의 형태는 Concave하거나 Straight 형태로 제작해주어야 한다.
(그림2) Custom abutment의 Fixture에서부터 보철물 Margin까지의 형태는 Concave하거나 Straight 형태로 제작해주어야 한다.

 

3) 최근 심미적이고 치주건강을 위해 Custom abutment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Custom abutment는 전치부위에서는 심미적인 고려로 0.5mm Subgingival level, 구치부위에서는 0.5mm Supragingiva level 혹은 Equigingival level로 해주어 크라운의 margin이 형성되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4) 임플란트지지 보철물의 교합은 임플란트 표면의 발전에 의해 골 임플란트 접촉율이 향상되어 기 존의 보철물의 교합과 동등하게 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5) 임플란트 보철물 장착 후 2-3주 후에 기능후 교합의 평가와 대합 자연치의 민감도 등을 평가해 주는 것이 좋다. 그 후 매 6개월 한번 내원하여 교합, 임플란트의 동요도, 임플란트 주위 치주건강 등을 평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1년 한번 임플란트 주위 치조골을 평가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가 추천된다.

III. 결론
1) 임플란트지지 보철수복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정확히 진단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2) 임플란트의 식립시기를 결정하고,
3) 최종보철물을 기초로한 Top-down concept에 의해 Fixture의 3차원적인 position에 기초를 둔 SurgiGuide를 이용하여 적확히 Fixture를 식립하고,
4) 보철수복 과정을 통하여 Occlusal & Esthetic rehabilitation을 해 준 후,
5) 자연치아와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유지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장기적인 임플란트 보철수복의 성공을 위해서는 시술하기 쉽고 유지관리하기 간편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시술하는 것을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를 위하여 추천한다.

글_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