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Complete Denture(틀니)의 장착, 유지관리 및 첨상

* 첨상 후 교합조정
구강 내에서 relining이 된 의치를 제거하여 잉여 부분을 제거하고 마무리한 후 첨상이 완료된 의치를 따뜻한 물에 Rebase hardner(경화제)를 첨가한 용액에 3-5분 담가두어 polimerization이 촉진되도록 해준다(그림 92).

△  (그림 92) Rebase hardner의 powder를 소량 첨가한 따뜻한 용액에 3-5분 담가두어 polimerization이 촉진되도록 해주어 relining을 완성한다.
△ (그림 92) Rebase hardner의 powder를 소량 첨가한 따뜻한 용액에 3-5분 담가두어 polimerization이 촉진되도록 해주어 relining을 완성한다.

마지막 단계로 의치의 첨상이 완료된 후에는 항상 의치는 구강 내에서 교합을 점검하여야 하고, 약간의 교합조정이 필수 적으로 요구된다(그림 93).
 

△ (그림 93) 의치의 첨상이 완료된 후에는 구강 내에서 교합을 점검하여야 하고, 약간의 교합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그림 93) 의치의 첨상이 완료된 후에는 구강 내에서 교합을 점검하여야 하고, 약간의 교합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2) Indirect denture relining(간접 의치첨상)
인상재를 이용하여는 간접법 의치첨상 시에는 기존의 의치는 총의치 제작 과정 중 individual tray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 다. 직접법과 마찬가지로 인상재는 light body VPS를 이용하거나 Tissue conditioner를 이용하여 기능인상을 채득한다(그림 94).
 

△  (그림 94) 상하악 의치의 Indirect Relining을 위하여 Light body VPS를 아용하여 border moulding 후 Closed mouth technique에 의해서 impression을 뜬다.
△ (그림 94) 상하악 의치의 Indirect Relining을 위하여 Light body VPS를 아용하여 border moulding 후 Closed mouth technique에 의해서 impression을 뜬다.

인상 채득시 중요한 점은 직접 의치첨상 방법과 마찬가지로 간접 의치첨상을 위한 인상채득시에 Closed mouth technique 을 이용해야 하며, 기능인상을 채득된 의치는 기공실(기공소)에서 의치의 첨상을 해야 한다. 기공실에서 의치첨상이 완성된 간접법에 의한 첨상된 의치의 시적과정은 보통의 완성된 의치의 시적과정과 동일하며, 그림 95와 같이 Fit checker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점상된 의치의 조직면을 평가해야 하며, 교합조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  (그림 95) 간접법에 의해 첨상된 의치는 Fit checker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조직면의 평가와 교합조정과정을 거쳐야 한다.
△ (그림 95) 간접법에 의해 첨상된 의치는 Fit checker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조직면의 평가와 교합조정과정을 거쳐야 한다.
△  (그림 96) Tokuyama 사의 Universal Bond(A, B 용액 혼합해 사용)와 Rebase adhesive.
△ (그림 96) Tokuyama 사의 Universal Bond(A, B 용액 혼합해 사용)와 Rebase adhesive.

3) 금속 의치상의 첨상(Relining on Metal base denture)
금속의치상의 첨상 방법은 기존의 레진상 의치의 첨상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의치의 Metal plate base와 첨상레진이잘 결합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금속의치상과의 첨상레진의 결합력을 도와주는 Metal primer가 개선된 Universal Bond(Tokuyama)가 새로 개발되어 금속의치상도 첨상을 쉽게 할 수 있는 사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금속 의치상의 전처리 금속상의 첨상 레진의 접착을 돕기 위해 metal plate의 sand blasting을 하는 것이 추천된다. 그리 고 stone bur나 denture bur를 이용해서 의치의 조직면을 거칠게 형성한다.

그리고 우선 Universal Bond(그림 96)를 금속상 부위에 바르고 건조한 후, Rebase adhesive(그림 96)를 금속상 이외의 레진 의치상 부분에 발라준다. Relining이 필요하지 않 은 부위 의치의 외면에 분리제나 바세린을 발라주어 불필요한 부위에 첨상레진을 제게하기 쉽도록 해준다.
 

△ (그림 97) (상) 의치의 금속 면에 Universal Bond를 바른 후에 레진 부위에 Rebase adhesive를 발라준다. 첨상 레진은 혼합비율에 맞도록 섞어주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잘 혼합한 후 흐름성이 좋을 때 우선 의상 내면에 한번 얇게 coating해 주어 첨상 레진의 화학적 결합이 잘 되도록 해 준다.
△ (그림 97) (상) 의치의 금속 면에 Universal Bond를 바른 후에 레진 부위에 Rebase adhesive를 발라준다. 첨상 레진은 혼합비율에 맞도록 섞어주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잘 혼합한 후 흐름성이 좋을 때 우선 의상 내면에 한번 얇게 coating해 주어 첨상 레진의 화학적 결합이 잘 되도록 해 준다.

의치의 금속면에 Universal Bond를 먼저 바른 후에 레진부위에 Rebase adhesive를 발라준다. 의치의 외면은 첨상레진의 제거가 쉽도록 분리제를 발라준다(그림 97 상). 첨상레진의 혼합 비율에 맞도록 섞어주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잘 혼합한 후 흐름성이 좋을 때 우선 의상 내면에 한번 얇게 coating 해주어 첨상 레진의 화학적 결합이 잘 되도록 해주고, light body VPS 정도의 viscosity가 되었을 때 의치상에 추가의 첨상 레진을 충분히 발라준다(그림 97 하). 그리고 의치를 구강 내에 끼워준 후 동일 한 방법으로 Relining을 마무리한다.
 

△  (그림 97) (하) light body VPS 정도의 viscosity가 되었을때 의치상에 추가의 첨상레진을 충분히 발라준 후 구강 내에 끼워준 후 동일한 방법으로 Relining을 마무리한다.
△ (그림 97) (하) light body VPS 정도의 viscosity가 되었을때 의치상에 추가의 첨상레진을 충분히 발라준 후 구강 내에 끼워준 후 동일한 방법으로 Relining을 마무리한다.

금속의치상의 첨상도 이러한 여러 단계의 과정을 잘 수 행 했을 때에는 레진 의치상과 마찬가지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기존 교합관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기존 의치를 첨상할 때에는 closed mouthte chnique에 의해 의지 첨상을 수행해야 하며, 첨상 후 약간의 교합조정을 통해서 의치상 아래의 조직면에 잘 적합되 고 유지력이 개선된 의치에 의해 저작기능이 좋아지고 자신감을 갖도록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약 2-3일 이내에 내 원하여 새로운 틀니를 끼웠을 때와 비슷하게 check 해주는 것이 좋다. 의치의 첨상이 완료되고 의치의 조정이 완료된 후 적어도 6개월에 한번은 치과에 내원하여 틀니 및 지지조직을 점검해야함을 알려주어야 한다.
 

신상완 교수
신상완 치과(임상치의학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