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례 5] 전치부 심한 크라우딩으로 평소 교정치료 하기를 간절히 바래왔던, 그러나 치료 시 동통이 무서워 교정 치료를 주저하였던 고령 환자 증례.전치부 심한 크라우딩으로 매우 비심미적인 치열을 가진 환자가 “무통교정이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반신반의 하면서 내원하였다. 본 환자는 십수년 전 40대 후반의 나이에 교정을 시도하였으나 너무 아파 한 두번 내원하고는 포기하였던 전력이 있었다.최근 새로운 장치가 개발되었다는 이야기를 친구 치과의사에게 듣고는 내원하였다. 크라우딩 정도를 보면 소구치 발치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나 일년전
{증례 2} PTM으로 인해 공간 재분배 교정이 필요하나 비심미적 교정 장치로 인해 교정치료를 꺼리는 고령 남자 환자 증례지난 일년 전 하악우측 측절치의 치주 및 근관 치료 중 갑작스럽게 치아가 전위되면서 원심부에 공간이 발생한 환자로, 보철을 위해서는 공간재분배가 불가피하여 교정 치료를 위해 의뢰된 환자였다. 하전치부는 교모와 함께 정출이 나타나 이론적으로는 intrusion 후 보철이 필요하지만 환자는 공간재분배라는 간단한 교정치료 조차 받기를 주저할 정도이어서 치료계획에 넣지도 않았다. 하악의 공간외에 상악정중부에도 치주질환으
(3) 치주에 대한 고려고령자의 치료계획 수립시 골수준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령자에게는 골결손이 많은데, 수평골결손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으나 수직골결손은 계속적인 치주파괴를 야기하므로 교정치료계획 수립시 이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즉 수직골결손이 없도록 소위 골레 벨링이 되도록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치아의 레벨링은 양보서라도 골레벨링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4) 심미에 대한 고려고령자에서도 치료계획 수립시 심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실제로 심미 목적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2. 고령자 교정의 수요 증가고령자에서의 교정치료 필요성 증가와 함께 고령환자들의 교정치료 요구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선 경제적 여건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어 주된 관심사인 건강과 웰빙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고령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소위“노노(No老)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에이징에 대한 거부감이 보편화되고 있다. 자연 안티에이징 또는 웰에이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구강 내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인 하전치부 크라우딩증가에 대한 반응으로 “내가 늙어가고 있 구나”라고 생각하는 고령자가 증가한다는 것이
Ⅰ. 고령자 교정의 필요성 및 수요 증가불과 30년전만 하더라도 성인교정 자체가 생소한 용어이었다. 치아를 움직이는 교정치료는 주로 성장기 아동에서 그리고 사춘기 청소년에서 이루어졌다. 성장이 종료된 성인에서의 치료는 의료 선진국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치아이동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 및 생역학에 대한 연구가 그리고 성인치료에 필요한 교정 재료 등이 발달하면서 성인에서의 교정치료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자 성인교정은 그야말로 봇물 터지듯 그 수요 및 공급이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경제적 또는 학업 등의 이유로 이전에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