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수면무호흡 … 심하면 기억력과 집중력·분별력·인지 기능이 저하
수면 무호흡증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 이 제기됐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은 주변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본인의 생활 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단순한 ‘현상’으로 치부하고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기억력과 집중력, 분별력과 같은 인지기능 이 저하되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신체가 지속적인 저산소상태에 빠지게 되어 고혈압이나 부정맥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하거나 심화시킬 수 있다.
실제로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50%가 고혈압이 있으며, 고혈압 환자의 상당수가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면무호흡증은 크게 ‘중추성 수면무호흡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나눈다.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은 뇌의 호흡을 관장하는 중추에서 호흡의 신호가 없어서 무 호흡이 발생하는 것이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중 상부기도가 좁아져 급기야 호흡중에 기도가 막혀 발생한다.
최진영 (서울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심한 코골이의 약 45%에서 발생한다.”며, “충분한 수면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낮에 졸린 현상이 나타나거나 수면중 갑작스러운 호흡의 중지, 식은땀, 성기능 장애, 집중력 감퇴, 기억력 소실과 같은 증세를 보이며 심한 경우 고혈압이나 부정맥과 같은 내과질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치료는 주로 이비인후과에서 진료한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 이에 대한 대국민 홍보도 필요해 보인다.
- [논문] 청소년 환자에서 비발치 교정과 수면 무호흡증과의 관계
- 치과와 의과의 수면질환 최신 치료 전략
- 세계석학에게 듣는 수면무호흡증 환자 치료법
- 수면 무호흡 환자에 대한 해결 방안
- 수면무호흡증 환자 ‘194% 증가’ 진료비도 ‘급증’
- 최근 6년간 수면무호흡증 환자 194%증가
- 수면무호흡 환자는 있는데 치과가 없다?
- 코골이 치료 꼭 치과의사가 해야 하는 이유
- 체어타임 짧아 만족도 ‘높고’ 수익 ‘좋아'
- “블루오션 바로 코리에 있습니다”
- 40대 이상 607.3만명이 수면무호흡증
- 코골이, 수면무호흡 환자도 치과가 전문
- 수면무호흡 환자의 진단과 치료법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