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의학회 , 지난 17일 치의학용어 개정 및 신규 용어 제정 연구 과제 발표

△ 인사말을 하고 있는 대한치의학회 김철환 회장
△ 인사말을 하고 있는 대한치의학회 김철환 회장

대한치의학회(회장 김철환) 표준화용어위원회는 지난 11월 17일(수) 대한치과의사협 회 5층 대강당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치의학용어집은 2005년 출판 이후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존 용어의 개선과 신규 용어의 반영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한치의학회는 지난 2년간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의 지원을 받아 위원회를 구성하 고 이승표 대한치의학회 기획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해 26명의 전문위원들이 새로운 치의학 용어집을 완성했다. 

치의학용어 표준화는 국민 구강건강 발전과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며, 대학의 학생 교육과 연구에도 중요 기반이 된다. 
또한 신기술과 치료방법의 발전이 반영되어 세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남북치의학 교류에서 표준용어 작성에도 기초자료로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완성된 표준용어는 다양한 형식의 소프트웨어로 가공될 예정이며 이를 활용해 치과의료 빅데이터 구성 및 인공지능기반 진료보조도구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용어 표준화는 무엇보다 각 학회의 적극적 의견수렴과 용어 소비자들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 책 속에 갇혀 있지 않고 교육 현장과 진료실에서 살아 숨쉬는 치의 학용어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표준 용어의 활성화를 위해 4명의 연자가 미래 지향적인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표준치의학용어위원회 이승표 위원장이 ‘치의학용어 표준화 결과보고 및 향후 과제’ 를, 한국치의학 교육평가원 이재일 원장은 ‘치의학 교육과 치의학용어 표준화’를 한국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치과의사시험위원회 신동훈 위원장은 ‘국가고시에서 치의학 용어 표준화’를  김영재(서울대 치과병원) 진료처장은 ‘의료분야 빅데이터를 활용을 위한 치의학용어 표준화 제언’을 주제로 진행했다. 

이승표 위원장은 “향후 정보화 시대에 이번에 완성된 표준 치의학용어의 적극적 활 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철환 회장은 “치의학용어는 국제질병분류, 국가기관, 법령, 국가고시, 진료기록, 처 방전 등에 이용되는 중요한 분야다. 치의학 용어를 표준화시키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치의학계 내부와 미래세대 후학들에게도 남겨 주어야 할 우리 의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용어는 시대가 계속 흘러감에 따라 계속 변형된다. 따라서 현시점에 맞도록 지속적으로 개정돼야 하며 이를 위해 치과계 내부에 치의학용어 개정과 정비를 상시 논의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이 뒷받침되는 기관이나 협의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 날 발표회에는 박태근 회장과 김종열 대한치의학회 초대회장과 변효순(보건복지부 구강정 책과) 과장이 참석했다.
이 날 발표회에는 박태근 회장과 김종열 대한치의학회 초대회장과 변효순(보건복지부 구강정 책과) 과장이 참석했다.

한편, 대한치의학회에서는 보건복지부와 연구과제로 ‘치의학용어 개정및 신규 용어 제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 날 발표회에는 치협 박태근 회장과 김종열 대한치의학회 초대회장과 변효순(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과장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