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FD & MFI: Stability dip을 줄이는 정교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골유착 임플란트란 잘 분화되고 적절히 재형성된 생체조직(치조골)과 긴밀한 형태를 가지고 잘 조정된 인공적 구조(임플란트 고정체)간에 거부기전이 일어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위 공생적 방식으로 구조적및 기능적 공존이 지속 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골유착이라는 현상은 Branemark에 의해 광학 현미경하에서 매개된 연조직이 관찰되지 않는 살아있는 골과 기능적하중을 받고 있는 임플란트 표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정의됐다.
임플란트는 고정체의 적절한 골유착후 상부 구조물의 정확한 디자인과 적절한 기능적수행이 동반돼야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주제에서는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에 관해 MagiCore를 이용한 적절한 골유착을 얻기 위한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lantation)의 일련의 과정들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임플란트 수술의 목적은 적절한 골유착을 얻는 것이고 이를 위한 핵심적인 과정은 정교한 식립구의 형성과 그에 따른 정교한 임플란트의 식립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임플란트의 디자인은 골유착에 영향을 미치며 임플란트의 계면에서는 임플란트 식립의 시간변화에 따라 1) 수술적 고정 2. 역동적 치유과정 3. 조기부하기 4. 최종부하기라는 뚜렷한 네 단계의 상의 변화가 일어난다.
그 첫번째로 수술적 고정이라함은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초기안정성이라고 하는 것인데 초기 안정성이라 함은 임플란트의 식립 후 미세 동요도가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기 안정성을 얻는 방법에는 최종식립 torque값으로 표현되는 고정력을 통해 고정을 얻는 방법 [그림 1]과 형태적 접촉을 통해 미세 동요가 없이 유지되는 방법 [그림 2]이 있다.
기존의 삼각 thread 형태의 임플란트는 전자와 같이 주변골을 압박하며 그에 따른 고정력을 토대로 초기 안정을 얻는데 반해 MagiCore는 사각의 긴 thread를 가지고 있는 형태로 Magic Drill을 이용한 body prep과 Magic Tap Drill을 이용한 thread prep을 통해 MFD로 표현되는 정교한 형태의 식립구 형성 후 그 음형에 맞게 MFI로 표현되는 정교한 임플란트 식립 과정으로 형태적 접촉을 통한 초기안정을 얻게 된다 [그림 3].
이렇게 초기 안정을 얻게 되면 이후 임플란트의 초기 치유기에는 골유착과정을 거치게 된다.
Steigenga 등이 지름, 길이, 나사산 숫자, 나사산 깊이, 표면처리가 비슷하고 나사산 모양이 다른 3가지 골내 임플란트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V-형과 역 buttress형은 비슷한 BIC와 역토크 값을 나타냈으며 사각나사산 임플란트는 더 높은 BIC와 역토크값을 보였다.1
따라서 사각나사로 이뤄진 MagiCore는 초기에 적절한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lantation)를 시행했다면 이후 골유착 과정에서 양호한 예후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골치유 과정에서 골유착을 안정적이고 빠르게 얻기 위해서는 손상된 골 양이 적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최소침습적인 골삭제가 중요하다.
골치유양상은 primary bone healing과 secondary bone healing 으로 나뉘는데 골손상의 범위가 0.5mm 이하일 경우 바로 lamellar bone 이 형성되는 primary bone healing이 이루어지나 골손상의 범위가 그 이상일 경우 woven bone이 먼저 형성되는 secondary bone healing 양상으로 진행되므로 골치유의 기간이 훨씬 늘어나게 된다.
MagiCore의 경우 길이가 0.5mm 이상인 사각의 나사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임플란트 body의 직경이 작아 일반적인 경우보다 좁은 골폭에도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고 임플란트의 응력 전달이 우수하며 훨씬 넓은 표면적을 얻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반면 정교한 식립구 형성을 하지 못한다면 임플란트의 나사산 사이의 interthread bone의 손상을 야기해 primary bone healing을 얻을 수 없어 골치유기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정교한 식립구 형성과 그에 따른 정교한 임플란트 식립인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lantati on)의 중요성이 임플란트 성공과 양호한 예후에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식립구 형성은 골에 창상을 주는 행위로써 임플란트 식립 후 일반적인 골치유및 재 생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임플란트 식립 당시의 압박 등은 초기 osteoclastic activity를 더욱 활발하게 유도해 임플란트계면주변에 있는 기존의 골을 흡수시킨 후 osteoblastic activity 작용을 통해 신생골로 치환되는 과정을 거치며 이는 임플란트 식립후 처음 4주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나타내는 stability dip이라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lantation)가 적절히 시행된 Magi Core 시스템에서는 긴 나사산을 통해 형태적 접촉을 얻기 때문에 초기 osteoclastic acti vity로 인해 기존의 골이 흡수되는 과정에서도 초기 안정성의 소실을 최소화해 stability dip의 발생을 줄이고 조기부하에도 유리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여러가지 이유를 통해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la ntation)의 필요성을 확인했으며 성공적인 MFD(Magic Fit Drilling) & MFI(Magic Fit Imp lantation)를 위한 과정과 유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다.
<Magic Fit Drilling>
1. Magic Guide Pin 설치
무치악 부위에서 flap 형성을 하지 않고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및 path를 확인 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전에 먼저 식립부위 치조정을 촉진해 식립예정 path 를 설정한 후 path를 따라서 GPS Drill을 이용해 drilling해 Magic Guide Pin을 삽입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방사선 영상 진단을 한다[그림 4].
2. Body preparation
Magic Guide Pin을 삽입한 이후 trephine bur 형태의 Magic Drill을 이용해 Magic Gui de Pin을 물고 Magic Drill를 일부 진입시켜 path를 확인한 후 Magic Drill 내부의 Magic Guide Pin을 제거한다[그림 5].
이어서 다시 한번 원하는 전체 식립구 깊이까지 drilling을 시행하고 trephine bur 형 태의 특성상 drilling 이후 남게 되는 내부의 bone core를 제거한다. 이후 Magic Depth Drill을 이용해 바닥구를 평평하게 정리해 준다[그림 6].
3. Thread preparation
Magic Tap Guide(Magic Tap Pin + Magic Tap Body)를 식립구에 삽입한 후 Magic Tap Pin을 남겨두고 Magic Tap Body만 제거한다. Magic Tap Drill을 이용해 나사산 모양의 식립구를 형성한다.
이때에도 Magic Tap Pin을 물고 Magic Tap Drill을 진행하면 기존 식립구의 path를 안정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그림 7].
<Magic Fit Implantation>
Thread preparation을 완료한 후에는 반드시 손으로 식립한다. Fixture를 조심스럽 게 돌리며 만들어져 있는 나사산을 찾고 thread가 식립구 내부에 있는 나사산과 맞물 리는 느낌이 오면 정방향으로 천천히 돌리며 식립한다.
손으로 돌려서 더 이상 들어가지 않으면 torque wrench를 사용해 정방향으로 돌리며 식립한다[그림 8]
현대의 임플란트는 발전을 거듭하며 식립 시 환자의 불편감의 최소화, 임플란트 치 료 과정의 단축, 임플란트 기능시작 후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안정성 등 많은 부분에서 과거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최소침습 수술, 발치 후 즉시 식립, 즉시 또는 조기부하 등의 필 요성이 대두되고 그에 따른 술식의 발전과 더불어 그에 맞게 개선된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agiCore 임플란트 또한 그러한 요구에 맞게 개발된 임플란트로 이번 연재를 통해서 더 나은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힘쓰는 많은 술자들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Reference
1. Steigenga JT, al-Shammari KF, Nociti FH, Misch CE, Wang HL. Dental implant design and its relationship to long-term implant success. Implant Dent. 2003;12(4):306-17. doi: 10.1097/01.id.0000091140.76130.a1. PMID: 14752967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석사
●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 학회 회원
● 現 연세호치과 원장
IBS 임플란트 임상연구 위원
AMII 연자
- [IBS 임상특집] 김용완 원장의 최소침습적 임플란트 치료
- [IBS] 김용완 원장의 최소침습적 임플란트 치료
- [IBS] 장정록 원장의 최소침습적 임플란트 치료
- [IBS] 길대현 원장의 최소침습 임플란트 MagiCore 개발 원리 (2)
- [IBS] 길대현 원장의 최소침습 임플란트 MagiCore 개발 원리 (1)
- [김재창 원장] Magic GPS(Guide Pin System)의 유용성
- [윤정호 교수팀] 골전도성 증가시키는 개기공 티타늄 다공체 제작
- [IBS 임상] External & internal pocket bone graft technique (1)
- [이영욱 원장] 최소침습적 임플란트 치료
- [IBS임상 특집] 김진철 원장
- [IBS임상특집]“Guide 위에 Guide를 더하다!”
- 미래 치료방법은 간편하고 쉽다(?)
- 모의시술로 더 정교하게 편리한 수술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