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경(桔梗; Platycodonis radix)

길경; 도라지(桔梗; Platycodonis radix)
길경; 도라지(桔梗; Platycodonis radix)

길경(桔梗), 즉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는 뿌리도라지(학명: Platycodon grandiflorus)는 초롱꽃과 도라지속(Platycodon)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산이나 들에서 흔히 발견되는 식물로써 높이는 40~100 센티미터이고 뿌리가 굵으며 줄기는 하나로 나거나 몇 줄기로 분리된다.

도라지의 뿌리인 길경의 모양은 불규칙하며 가늘고 긴 방추형 ~ 원추형으로 때로 분지되어 있고 바깥 면은 회갈색이나 연한 갈색 또는 흰색으로 인삼(人蔘)이나 사삼(沙蔘)과 색조나 형태가 비슷하다.

식용이나 약용으로 분리한 도라지 뿌리의 주근은 길이 10 ~ 15 cm, 지름 1 ~ 3 cm이고, 위쪽 끝에는 줄기를 제거한 자국이 오목하게 남는다. 그 부근에는 가는 가로주름과 세로 홈이 불 규착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뿌리형태가 다소 구부러진 것도 있다.

근두부(根頭部)를 제외한 뿌리의 질은 단단하며 구부리면 꺾어지기 쉽다. 꺾인 면은 섬유성이 아니며 때로 군데군데 큰 빈틈이 있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볼 때 피부는 목부보다 약간 얇고 거의 흰색이다. 목부는 흰색내지는 연한 갈색을 띠고 그 조직은 동체보다 약간 치밀하다. 길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작은 도관들이 1열로 방사상 배열을 하고 표피까지 발달된 수선들과 번갈아 배열되어 있으며 코르크세포 안에 옥살산석회의 단정과 유관 안에 연한 황색의 유액이 들어있다. 이 성분들로 인하여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잘 느낄 수 없으나 씹은 후 조금 지나면 혀가 약간 아리고 쓰다.

도라지에는 사포닌(Saponin), 즉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통증억제 효과를 보유하는 다양한 플라티코딘(platycodin)외에도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이눌린(inulin) 등이 풍부하다. 따라서 길경은 폐나 호흡기 질환을 오래 앓았거나 면역력이 크게 약화된 경우, 또는 암이나 오래된 천식, 당뇨, 심장병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약효로 진해, 진통, 진정, 해열작용을 보유하고 있어서 소염진통, 진해거담제로 사용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능이 있어 혈관계 질환 및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다.

이처럼 도라지는 계절에 따라 유행하는 감기나 인플루엔자는 물론 천식에도 효능을 보이기 때문에 호흡기질환에 노출되기 쉬운 어린이나 노인, 그리고 잦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면역력이 약해진 사람의 건강보호에 좋다.

실험실에서 길경을 80% MeOH로 추출해 HP-20 c romatography를 시행해 얻은 70% EtOH 분획으로부터는 총 12개의 성분(길경사포닌; Platycodin D, Platycodin D3, 3”-acetyl platycodin D, platyconic acid B, Deapi-platycodin D, Polygalacin D, Platycoside E, 2”-acetyl platycodin D2, platycodin J, platycodin L, platycodin K, 2”-acetyl platycodin D)이 분리된다.

주된 약효를 발휘하는 길경의 사포닌 함량은 추출물 전체의 약 2%나 된다. 사포닌은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 알카로이드 혹은 트리텔펜(triterpene)의 배당체를 총칭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길경함유 사포닌 종류는 무려 30여종 이상이지만 사포닌간의 화학적 구조가 매우 유사하여 개별분리나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길경추출물은 생체 내외 실험에서 간 보호활성 및 간 부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길경의 간 보호와 관련된 새로운 효능과 작용기전은 앞으로도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한방에서 주창하는 길경의 본초학적 효능 중 배농소종(排膿消腫)은 고름을 없애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과라고 한다.

길경 추출물의 활성성분인 platycodin D3 platycodin D는 생체 내, 생체 외 실험에서 호흡기 뮤신(점액) 생성 및 분비조절 효과를 보이므로 길경의 한의학적 호흡기 뮤신에 대한 효능을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길경이 보유하는 호흡기계의 거담(去痰) 배농(排膿) 효과가 현대약리학적 염증모델에서 효과를 나타내므로 한의학적 효능이 현대 약리학적으로도 증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포닌이 체내에 들어가면 면역력을 높여주고, 피로회복도 돕는다. 사포닌은 알려진 항암효과 외에도 혈관 내부에 쌓이는 콜레스테롤을 없애주는 데 사포닌 성분이 풍부한 도라지가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고 한다.

그리고 Borneol 성분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보인다. 이와 관련된 일련의 실험결과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중의 하나인 TNF-α의 발현감소로 효과를 나타내는 잠재적인 항염증 작용이 확인되어 있다.

각종 전신질환이나 국소질환에 치료목적으로 적용되는 길경의 임상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간 보호효능.

길경의 H2O 추출물은 CCl4 처치 시 현저한 간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길경의 H2O 추출물 및 70% EtOH 추출물은 GalN 처치 시 비교적 미약하지만 유의성 있는 간보호 활성을 보여준다.

(2) 기관지 천식 및 알러지성 비염에 대한 효능.

길경의 H2O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은 모두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IL-4IFN-γ

분비를 감소시켰고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시켰으며 난알부민-유도 기관지 천식 마우스에서 히스타민 OVA-specific IgE, IL-4 분비감소 및 IFN-γ 분비증가를 통한 알레르기 면역조절과 폐와 기관지의 구조적 손상개선을 통해 천식증상 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3) 호흡기 뮤신(점액) 생성 및 분비조절.

길경의 70% EtOH 추출물은 기초적 뮤신생성은 증가시켰으나 호흡기 염증상태에서의 뮤신 과다생성, PMA로 자극된 뮤신생성은 억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길경에서 분리된 Platycodin D3Platycodin D 모두 호흡기염증 상태에서의 뮤신 과다생성, PMA로 자극된 호흡기뮤신 MUC5AC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4) 진통 및 소염효과.

도라지의 사포닌, 즉 다양한 플라티코딘(platycodin)이나 Borneol성분은 아스피린과 유사한 진통, 소염효과가 있어서 통증을 해소하고 부종을 조절한다. 무릎이나 허리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특히 편도선 또는 인후부 통증이나 부종, 그리고 구강점막 염증이나 궤양, 잇몸질환에도 진정작용과 소염효과가 있다.

따라서 길경추출물은 전통적으로 구내염이나 인후염, 치주염증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진통, 소염, 방부작용을 이용하여 치약이나 구강청정제, 기타 구강용 국소용제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길경추출물을 함유한 ‘LG 생활건강’의 명약원 치약
길경추출물을 함유한 ‘LG 생활건강’의 명약원 치약
김영진 박사
김영진 박사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치과·자동 차보험 심사위원
치의학박사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